분류 전체보기 9007

“내 아버지여 만일 할 만 하시어든~”

“내 아버지여 만일 할 만 하시어든~” 이창모 승인 2019.04.01 11:17 댓글 1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복사 기사공유하기 스크랩 프린트 메일보내기 글씨키우기 이창모 목사의 성경 오역(誤譯), 오석(誤釋) 바로잡기(3) 들어가는 말 성경의 의미를 바르게 이해하려면 비록 사본이기는 하지만 헬라어(히브리어) 원문의 의미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성경을 번역하는 자들은 성경 원문의 의미를 바르게 이해해야 하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성경 번역자들이 원문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서 원문의 의미를 번역 성경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면, 경우에 따라서는 "이창모 목사의 성경 오역(誤譯), 오석(誤釋) 바로잡기(2)"에서처럼 예수님을 하나님이 보..

유다 지파의 사자가 이겼으니 그가 두루마리와 일곱 인을 떼시리라

유다 지파의 사자가 이겼으니 그가 두루마리와 일곱 인을 떼시리라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구글+(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톡(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이승희 목사의 CDN 성경연구】 (103) 사자(Lion) NC. Cumberland University(Ph.D.), LA. Fuller Theological Seminary(D.Min.Cand.) ,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Th.M.), 고려신학대학원(M.Div.), 고신대학교 신학과(B.A.), 고신대학교 외래교수(2004-2011년), 현)한국실천신학원 교수(4년제 대학기관), 현)총회신학교 서울캠퍼스 교수, 현)서울성..

오바댜 개론

오바댜 개론 Mission http://www.egw.org/zboard/320099 2015.04.15 23:18:08 (*.236.20.25) 4318 0 1. 표제 이 책의 이름은 이 책을 쓴 선지자의 이름을 따라 붙여진 것이다. 오바댜(히.‘Obadyah)의 뜻은 “여호와의 종”이다. 오바댜는 구약 시대의 유대인들이 흔히 쓰던 이름이다(왕상 18:3, 4; 대상 3:21; 7:3; 12:9 참조). 2. 저자 구약의 인물들 중 오바댜라는 이름이 상당수 있을찌라도 그 중 아무도 긍정적으로 이 예언서의 저자로 동일시 될 수 없다. 남방 유다에 대한 구절들은 오바댜가 유다에 속한 사람이었음을 암시하고 있다. 3. 역사적 배경 오바댜가 호세아(호 1:1)와 다른 선지자들이 했던 것처럼 어느 왕들의 통치하..

◉오바댜 개관◉

◉오바댜 개관◉ 1. 서론 오바댜서는 구약성경 중 가장 짧은 내용을 담고 있다. 이같은 본 서는 에돔 족속을 향한 심판의 예언이 강력하게 기록되어 있다. 에돔 족속은 에서의 후손으로, 야곱의 후손인 이스라엘과는 가까운 형제지간이다. 하지만 이들은 끊임없는 하나님의 선민인 이스라엘을 대적하고 불의를 행하였다. 그리하여 하나님은 에돔 족속을 비롯한 그 밖의 이방의 모든 원수들을 마지막 '여호와의 날'에 엄중히 심판하실 것을 경고하고 있다. 아울러 선민 이스라엘이 이날 어떻게 구원을 얻으며, 메시야 왕국이 어떻게 건설될지에 대한 소망의 메시지를 선포해 주고 있다. 2. 저자와 기록 연대 1) 저자 본 서의 오바댜서에 대해 알려져 있는 것은 거의 없다. 다만 그의 이름이 헬라어로 '여호와이 종' 또는 '여호와를..

구약성서의 죽음과 사후세계 -소형근 교수

구약성서의 죽음과 사후세계* 1) 소형근 (서울신학대학교, 구약학) 한글초록 본 연구는 구약성서의 죽음과 사후세계에 대해 다루고 있다. 고대 이스라엘 사람들의 죽음과 사후세계를 다루기에 앞서 구약성서의 인간이 해를 다루었으며, 또한 구약성서의 죽음이해를 다루었다. 또한 죽은 자, 즉 사자(死者)가 가는 곳은 어디인지를 살펴보았고, 구약성서에 나타 난 부활사상을 소개했다. 여기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인간은 ‘흙’(창 2:7)으로 만들어진 존재이며, 하나님의 ‘생명호 흡’(창 2:7)으로 만들어진 존재이기에 다시 ‘흙’으로 돌아가야만 하는 운명론적인 존재이며, 또한 창조주 하나님이 원하시면 언제든지 ‘생명 호흡’을 거두어 가실 수 있는 존재가 인간이었다(시 104:29-30). 그..

헬라어 세 가지 태(voice) - 능동태, 중간태, 그리고 수동태.

​*관련 성경 구절; 엡1:4, 빌2:12, 갈 6:7~8,외 *참고 1) 헬라어에는 세 가지 태(voice) - 능동태, 중간태, 그리고 수동태. -능동태와 수동태는 영어와 우리말에서와 똑 같고 중간태는 주어가 어떤 면에서 그 주어 자체에 관계하거나 주어 자체에 속한 무엇에 대하여 동작하는 것을 묘사한다. 드물게나마 중간태가 재귀대명사의 목적격을 가진 영어의 동사 같은 세력을 표현할 때가 있다. 곧 내가 씻다에서 씻다는 동사가 중간태로 쓰이면 내가 나 자신을 씻다가 된다. -그러나 중간태의 세력은 훨씬 더 교묘하여 능동태와 중간태 사이의 차이점을 가려낼 수 없을 때가 자주 있다. 반면에 몇 동사의 경우는 번역할 때 두 가지 뜻이 너무 차이가 많아, 능동태에서 한 동사를 쓰고, 중간태에서는 전혀 다른 동..

신학/헬라어 2021.06.25

종교다원주의와 카톨릭 교회

종교다원주의와 카톨릭 교회 목창균 Ⅰ. 들머리 최근, 신학적 토의에 뜨거운 논쟁거리로 대두된 것은 기독교와 다른 종교의 관계문제이다. 기독교는 다른 종교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가. 구원은 기독교에만 있는가. 그리스도를 통하지 않고 구원에 이를 수 있는 길은 없는가. 다른 종교에는 구원이 없는가? 등의 문제가 조직 신학자, 종교철학자, 종교현상학자, 선교학자, 에큐메니칼 운동가들의 관심의 대상이되었다. 이것은 20세기 후반에 처음으로 제시된 새로운 문제는 아니다. 이 문제의 기원은 구약시대,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착까지 소급된다. 이스라엘 종교와 다른 종교들 혹은 여호와 하나님과 다른 신들의 관계는 가나안 정착 후 하나의 문제로 등장했다. 그뒤 특히 교부시대에 들어서면서 타종교와의 논쟁이 활발해지고..

게헨나, 흰놈, 지옥, 불 호수

●게헨나, 흰놈, 지옥, 불 호수 ◑게헨나 유대인들이 아이들을 몰렉에게 바치던 골짜기. 구약성경에서 이곳은 ‘힌놈의 아들의 골짜기’라 불렸다(왕하23:10; 렘7:31; 19:2-6). 후에 여기에서는 쓰레기를 태워서 불이 끊이지 않았고 예수님은 게헨나 지옥을 말씀하시면서 그것이 ‘꺼지지 않는 불이 있는 곳’이라고 하셨다(사66:24; 마5:22, 29-30; 10:28; 18:9; 23:15, 33; 막9:43, 45, 47; 눅12:5). 게헨나는 불 호수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계19:20; 20:10, 14-15). 지옥, 불 호수, 힌놈 참조. 지하 세계 선도 참조(81). 사진확대: 사진을 클릭하세요.[지하세계의 구조] ◑힌놈 힌놈의 골짜기 혹은 힌놈의 아들의 골짜기는 예루살렘 남쪽의 좁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