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의 신학 사상 바울의 신학 사상 바울 신학이란 율법으로는 흠이 없는 자로 자처하던 율법주의자 유대인 사울이 예수의 추종자들을 박해하기 위해 다메석으로 가던 도중 예수 그리스도의 부름을 받고 회심한 후 복음의 사도로서의 바울의 신앙과 그의 주장을 신학적으로 정립 표현함을 말한다. 바울은 선교 활동을 .. 성경/바울 2009.09.04
바울신학의 요소 바울신학의 요소 A. 유대교적 요소 바울사상에 어떤 요소가 있느냐 하는 문제는 또 하나의 문제가 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그에게는 유대적 요소가 있다는 점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유대인으로 랍비교육을 받았다.( 랍비..유대인들이 교사를 부르는 존경의 칭호이다.(선생의 칭호), (참고. 마23:1-8.. 성경/바울 2009.09.04
바울복음의 기원 바울복음의 기원 제2판의 부록-서평자들의 비평에 대한 저자의 답변 1.C.J.A.Hickling의 비평-바울의 복음이 다메섹의 그리스도의 현현에서 도출된 것이라 입증하기 위해 사도행전 9장에 의존해 있다. →저자의 답변-서론부분을 제외하고는 사도행전을 거의 사용하지 않음. 사도행전의 기사는 바울 자신의 .. 성경/바울 2009.09.04
바울의 신학 바울의 신학 I 서론 1.바울의 이름 바울서신에서 사도는 자신의 이름을 바울(paulos)로 부르고 있으며, 이 이름은 베드로후서 3:15과 그리고 사도행전 13:9이후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사울"에서 "바울"로 이름이 바귀어 지는 것에 주복하고 있다. 그러나 그당시 많은 유대인들은 두 개의 이름을 가비고 있었.. 성경/바울 2009.09.04
김세윤박사 바울신학 강의 6 김세윤박사 바울신학 강의 6 바울신학 제6강 지난번에 바울의 소명까지를 한 것 같다. 오늘은 바울이 받은 계시로부터 시작하겠는데 오늘은 주로 바울이 받은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에 대한 계시를 하고 다음부터는 바울이 받은 계시를 하려고 한다. 첫째로 하나님의 구원의 계시, / 이것이 계시란 말의.. 성경/바울 2009.09.04
김세윤박사 바울신학 강의 5 김세윤박사 바울신학 강의 5 바울신학 제5강 지난번에 바울이 그리스도인 되기 전에 가진 신학적인 입장과 바울이 교회를 핍박한 이유까지 했다. 이 시간에는 다메섹 사건을 하겠다. 다메섹 사건을 위해서 무슨 준비가 있었다고 볼 수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문제를 생각해보도록 하자. 1.바울의 다메섹.. 성경/바울 2009.09.04
바울신학 강의 4 김세윤박사 김세윤박사 바울신학 강의 4 바울신학 제4강 지금까지는 서론을 하였고 이 시간부터는 바울의 신학을 시작하겠는데 첫째로 바울의 사도로의 부르심 바울의 소명에 대해서 하겠다. Ⅱ.사도바울 바울의 사도직에 대한 이해를 해보려고 한다. 왜냐하면 첫 시간에 이야기한대로 바울은 사도로서 선교사이.. 성경/바울 2009.09.04
바울신학 강의3 김세윤박사 김세윤박사 바울신학 강의3 바울신학 제 3강 8.Bultmann의 제자들 Bultmann의 제자들은 E.Kasemann,G.Bornkamm,E.Fuchs,C.Ebeling 등이 있다. 또 E.Kasemann이라는 사람이 1952-1953년에 '역사적 예수의 문제'라는 강연을 시작으로 해서 Bultmann의 실존주의 신학이 너무 역사를 무시하는 신학이라면 반기를 들기 시작하여 역사.. 성경/바울 2009.09.04
바울신학강의2 김세윤박사 김세윤박사 바울신학 강의 2 바울신학 제2강 7.종말론적인 해석 종말론적 해석의 창시자는 W.Wrede인데 이를 발전 시킨 사람이 A.Schweitzer이다. 아프리카에 의료 선교사로 간 그는 원래 신학자였다. 젊은 나이(30대 초)로 스트라스부르그 신약한 교수였다. 기숙사이면서 동시에 신학교육도 일부 시키는 대.. 성경/바울 2009.09.04
바울신학강의1 김세윤박사 김세윤박사 바울신학 강의 1 바울신학 제1강 이번학기 신학신학 제1권을 하기로 했는데 보통 신약신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행적에서 시작하여 어떻게 사도들의 신앙고백이 발생하였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기독교의 발생을 규명하고 사도들의 신앙고백의 의미들을 .. 성경/바울 2009.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