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과 순자의 인간론 비교연구 바울과 순자의 인간론 비교연구 서 대 인 1 9 9 2 년 바울과 순자의 인간론 비교.HWP Ⅰ. 서 론 A. 연 구 목 적 기독교가 이땅에 전래된 이후, 한국의 다종교 상황으로 인하여 기독교와 타종교간의 대화는 자연스럽게 행해지게 되었다. 기독교와 샤마니즘의 비교연구, 기독교와 불교의 비교연구, 그리고 기.. 성경/바울 2009.09.04
바울의 종말 신앙 연구 바울의 종말 신앙 연구 바울의 종말신앙연구.hwp ---바울의 종말적 윤리 이해 중심으로--- 이 지 원 서론 ‘종말론’은 우리사회에 내재 되어 있는, 많은 불만적 요소의 표출 창구로 작용을 하는 예가 많다. 특히 얼마전 ‘다미 선교회’의 10월 28일 주장은 과히 충격적이라 할수 있다. 이장림씨의 ‘다미.. 성경/바울 2009.09.04
신약 성경의 저작시기 신약 성경의 저작시기는 다음과 같다. 갈라디아서는 바울의 1차 전도 여행 직후 AD 49년에 기록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데살로니가전서는 2차 전도 여행 중인 50-51년이고, 데살로니가후서는 연대를 알 수 없고, 고린도전서는 바울의 3차 전도여행 중인 54년이며, 고린도후서도 바울의 3차 전도여행 중.. 성경/바울 2009.09.04
예수와 바울에 대한 소고 예수와바울에대한 소고.hwp 예수와 바울에 대한 소고 - 종말론을 중심으로- 백 유 현 제 1 장 서 론 흔히 ‘바울과 예수’라는 주제는 수십년 동안 신약 신학자들의 의제 역할을 해왔다. 그 결과 기독교 역사와 사상 가운데 가장 우뚝 솟아 있는 두 인물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형성.. 성경/바울 2009.09.04
예수는 누구의 손을 들어주었을까? 베드로와 바울의 교권다툼 예수는 누구의 손을 들어주었을까? 예수 사후에(일설엔 부활했다는 흥미로운 주장도 있음) 종단 운영을 두고 예수의 정통 제자들인 베드로와 동생 야고보가 주도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예수로부터 직접 사사를 받지 않았고, 이들 신흥종교를 배척하고 있던 바울이란 자가 있었습니다. 바울은 당.. 성경/바울 2009.09.04
The Meaning of Paul for Today Chapter 12 The Meaning of Paul for Today Chapter 12 Chapter 12. The Life of the Divine Commonwealth by C. Harold Dodd 유대주의에 있어서 정교(正敎) 보다는 정행(正行)이 종교적인 인간의 시금석(판단기준) 이었기 때문에 바리새인으로서 바울은 최고로 행위에 관심을 가졌다. 그 행위의 기준은 "율법의 보다 비중 있는 문제"를 지니고 있.. 성경/바울 2009.09.04
바울 신학으론 본 부활 바울 신학으론 본 부활 고전15장은 이른바 `부활장`으로서 사도바울은 만일 그리스도의 부활이 없었다면 복음 전파 곧 (케그리마)도, 거기에 따른 믿음, 곧(피스티스)도 헛 것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처럼 바울 사도가 힘있게 증거한 예수 부활사건은, 오늘 우리 모두 경건한 성도들에게 그리스도이신 예.. 성경/바울 2009.09.04
중심에 선 영원한 주변자 중심에 선 영원한 주변자 - 바울서신의 심리주의비평적 접근 - 박혁순 Ⅰ. 들어가며 대부분 기독교인들이 바울에게 붙이는 수사적 칭송은 크게 두 가지가 된다. 대개의 경우 그를 '사도'로 일컫고 존경하는가하면 일찍이 카톨릭 교회에서는 성인·성자의 반열에 올려놓고 숭앙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 성경/바울 2009.09.04
바울의 복음이해 바울의 복음이해 출처 http://sgti.kehc.org/ 김연태 I 바울은 헬라-로마 세계에 기독교의 복음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1세기의 헬라-로마세계는 21세기를 앞두고 있는 오늘날의 세계에 못지 않게 다양하고 급속한 변화의 시대였다. 이러한 시대에 바울은 때로는 복음의 토착화를 .. 성경/바울 2009.09.04
바울의 시대의 원시신앙전승 바울의 시대의 원시신앙전승 I. 시작하는 글 신약성서는 복음서들과 사도행전 이외에 요한계시록과 서신형태의 많은 문헌들을 포함하고있다. 신약성서의 설화체가 아닌 부분 중에서 거의 3/5이 바울의 저자 이름으로 시작되는 서신들이다. 이러한 숫자적 상황이 바울이 원시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사.. 성경/바울 2009.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