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 바울The Apostle Paul
I. Introduction |
개요 |
The Apostle Paul is an outstanding figure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Converted onl y a few years after the death of Jesus, he became the leading Apostle (missionary) of the new movement and played a decisive part in extending it beyond the limits of Judaism to become a worldwide religion. His surviving letters are the earliest extant Christian writings. They reveal both theological skill and pastoral understanding and have had lasting importance for Christian life and thought. (see also Index: Pauline letters) |
그리스도교 초기의 사도인 바울은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가장 탁월한 인물이다. 예수가 죽은 지 불과 몇 년 뒤에 회심한 그는 새로운 종교운동, 즉 그리스도교를 지도하는 사도(선교사)가 되었으며, 그 운동이 유대교의 한계를 넘어서 세계 종교가 되도록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가 남긴 서신들은 현존하는 그리스도교 문헌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바울의 서신들은 신학적인 정교함과 목회적인 이해를 생생히 드러내고 있으며, 그리스도교의 생활과 사상에 대해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II. Sources. |
관련자료 |
There are no reliable sources for Paul's life outside the New Testament. The primary source is his own letters. Of these, Romans, I and II Corinthians, and Galatians are indisputably genuine. Most scholars also accept Philippians, I Thessalonians, and Philemon. Opinion is divided about Ephesians, Colossians, and II Thessalonians. The Pastoral Letters (I and II Timothy and Titus) are held by many scholars to have been written considerably later than the time of Paul. The story of Paul's conversion and missionary career is given in Acts, probably written many years after his death. Some sections dealing with sea journeys may be derived from the diary of a companion of Paul. Traditionally this was thought to be Luke, the evangelist and author of Acts, a view still held by a number of scholars. For further information on the sources for Paul's life, see BIBLICAL LITERATURE AND ITS CRITICAL INTERPRETATION: New Testament literature . |
바울의 생애에 대해서는 [신약성서] 외에는 믿을 만한 자료가 없으며, 그 1차적인 자료는 바울이 쓴 서신들이다. 그 가운데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고린도인들에게 보낸 편지](Ⅰ·Ⅱ)·[갈라디아인들에게 보낸 편지]가 바울 자신이 직접 쓴 서신들이라는 데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또 많은 학자는 [필립비인들에게 보낸 편지]·[데살로니가인들에게 보낸 편지]·[필레몬에게 보낸 편지]도 바울의 서신으로 간주한다.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골로새인들에게 보낸 편지]·[데살로니가인들에게 보낸 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성서 학자들은 목회서신인 [디모데에게 보낸 편지](Ⅰ·Ⅱ)와 [디도에게 보낸 편지]는 바울 시대보다 훨씬 후대에 씌어졌다고 한다. 바울의 개종과 선교 활동은 사도행전]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바울 사후 몇 년 뒤에 씌어진 것 같다. 2번의 해상여행을 취급한 [사도행전]의 해당부분은 바울의 동료가 쓴 일기에서 따온 것 같다. 전통적으로 이 동료는 복음서 저자요 [사도행전]의 저자인 루가라고 생각되고 있으며, 이 견해는 오늘날에도 많은 학자들이 지지하고 있다. |
III. Life. |
삶 |
1. Early life. |
초기의 삶 |
Paul was a Jew, born, perhaps in AD 10, at Tarsus, a city in Cilicia on the main trade route between East and West, and the home of famous Stoic philosophers. Like many of the Jews there he inherited Roman citizenship, probably granted by the Romans as a reward for mercenary service in the previous century. This fact explains his two names. He used his Jewish name, Saul, within the Jewish community and his Roman surname, Paul, when speaking Greek. Though he had a strict Jewish upbringing, he also grew up with a good command of idiomatic Greek and the experience of a cosmopolitan city, which fitted him for his special vocation to bring the gospel to the Gentiles (non-Jews). At some stage he became an enthusiastic member of the Pharisees, a Jewish sect that promoted purity and fidelity to the Law of Moses. According to Acts, he received training as a rabbi in Jerusalem under Gamaliel I. His knowledge of the Law and of rabbinic methods of interpreting it is evident in his letters. Like most rabbis he supported himself with a manual trade--tent making--probably learned from his father. It is clear that he never met Jesus while in Jerusalem, if, indeed, he was there before the Crucifixion. He learned enough about Jesus and his followers, however, to regard the Christian movement as a threat to the Pharisaic Judaism that he had embraced so eagerly. Thus he first appears on the scene of history as a persecutor of the newly founded church. Serious persecution of Christians first arose in connection with converts among the Hellenists (Greek-speaking Jews) in Jerusalem. When one of them, Stephen, was stoned to death, the murderers "laid down their garments at the feet of a young man named Saul" (Acts 7:58). At that time Paul shared the sense of outrage aroused by the Hellenist converts. They had not onl y proclaimed Jesus as the Messiah and heavenly Lord, a man who had been crucified and therefore accursed by God (Deut. 21:23), but they also claimed that the temple and its sacrifices were superseded by the sacrificial death of Jesus and that therefore the Law could be disregarded (the subject of another curse, Deut. 27:26). Paul thus joined in the effort to stamp out the Christian movement. The Hellenist converts fled to the foreign cities where they had family connections, while the original Aramaic-speaking group in Jerusalem kept a low profile to avoid giving provocation. (see also Index: Hellenistic Judaism)
|
바울은 10년경 타르수스(다르소)에서 유대인으로 태어났다. 타르수스는 동·서간의 주요 교역로에 위치한 실리시아(킬리키아) 지방의 한 도시였으며, 유명한 스토아 철학자들의 고향이었다. 그곳에 사는 많은 유대인과 마찬가지로 그는 로마 시민권을 상속받았다. 이 로마 시민권은 1세기 전에 로마의 용병으로 복무한 사람들이 그 대가로 로마인들로부터 부여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바울이 2가지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도 이것으로 설명된다. 그는 유대인 공동체 안에서는 사울이라는 유대식 이름을 사용했으며, 그리스어로 말할 때는 로마식 별명인 바울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그는 엄격한 유대교 교육을 받았지만 그리스어를 능숙하게 구사했고 세계 도시를 경험하기도 했다. 이때문에 후에 그는 이방인들(비유대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특수한 소명에 적합한 인물이 되었다. 한때 그는 모세법에 대한 정절과 충성을 강조한 유대교의 한 종파인 바리새파의 열렬한 일원이었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그는 예루살렘에서 가말리엘 1세 밑에서 랍비로 훈련받았다고 한다. 율법과 그것의 랍비적 해석방법에 대한 바울의 지식은 그가 남긴 서신들에 분명히 나타나 있다. 대부분의 랍비들처럼 그는 수공업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그는 천막을 만드는 일을 했는데, 그 기술은 아마 그의 아버지에게서 배운 것 같다. 바울은 예수의 십자가 처형이 있기 전 예루살렘에 있었지만 그곳에서 예수를 만난 적이 없었다. 그러나 그는 예수와 그의 추종자들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었다. 그는 그 자신이 열렬히 옹호했던 바리새파적 유대교에 대해 그리스도교 운동이 위협을 가한다고 생각했고, 그리하여 그는 새로 창설된 교회의 박해자로서 역사의 무대에 최초로 등장한다. 예루살렘에서 최초로 일어난 그리스도교도들에 대한 가혹한 박해는 헬라주의자들(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 가운데 개종한 사람들과 관련된 것이었다. 헬라주의자들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스테파노가 돌에 맞아 죽음을 당했을 때, 그를 살해한 사람들은 "겉옷을 벗어 사울이라는 젊은이에게 맡겼다"(사도 7:58)고 한다. 그당시 바울은 헬라주의자 개종자들과 분노를 같이하고 있었다. 그들은 십자가에 달려 하느님의 저주를 받은 사람(신명 21:23) 예수를 메시아와 천상의 주로 선포했을 뿐만 아니라 성전에서의 제사가 예수의 희생적 죽음으로 대체되고 율법도 평가절하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율법을 짓밟는 행위는 하느님의 저주를 받는다……", 신명 27:26). 그리하여 바울은 그리스도교를 박해하는 일에 가담하게 되었다. 헬라주의자 개종자들은 인척관계가 있는 이방도시로 도망쳤고, 아람어를 사용하는 예루살렘 잔류파는 유대교의 분노를 사지 않기 위해 본색을 감추었다. |
2. Conversion. |
개종 |
Paul, in Galatians, bears out the impression given in Acts that he was converted as a result of a vision on the road to Damascus, on his way to apprehend some of the scattered converts. His own account is tantalizingly brief: "he who had set me apart before I was born, and had called me through his grace, was pleased to reveal his Son to me, in order that I might preach him among the Gentiles" (Gal. 1:15-16). The longer description in Acts, given three times, dramatizes what may have been essentially an inward experience. It was certainly a moment of revelation, changing Paul from bitter enmity to lifelong dedication to the Christian cause. (see also Index: Galatians, The Letter of Paul to the) Paul's conversion has often been explained psychologically as the resolution of an inner conflict. But the notion that Paul was tormented by scruples rests on a misunderstanding of Rom. 7. This chapter is concerned not with autobiography but with universal experience seen in the light of mature Christian understanding. Paul would not have spoken in these terms before his conversion. In fact, it is clear from other passages that his early life was free from such struggle. He excelled in zeal for the Law, and by its standards his life was blameless. (see also Index: Romans, Letter of Paul to the) Paul's own account is much more in keeping with Old Testament callings of a prophet. Though it is impossible to state exactly what happened, the central feature was certainly his vision of Jesus in glory. It convinced him that Jesus was risen from the dead and exalted as Lord in heaven, as the Christians claimed. It also was proof that Jesus had been crucified wrongfully. Hence the curse did not apply, and his death could be understood as a sacrifice on behalf of others. To Paul this had universal significance. Believing, like many Jews of his time, that God's final Day of Judgment, on which he would come to free the world from evil and to establish lasting peace and righteousness, was imminent, Paul then saw his vocation to be a missionary to people of every nation to prepare them for God's coming. The new feature of this expectation was the place accorded to Jesus Christ. In agreement with the earliest apostolic preaching, Paul believed that Jesus, having died for the sins of mankind, was now reserved in heaven as God's agent for the judgment. Those that believed in him and acknowledged him as Lord would have him as their deliverer on that day. Thus faith in Christ became the foundation of Paul's preaching. Along with this he proclaimed the love of God shown in the sacrificial death of Christ, who "loved me and gave himself for me" (Gal. 2:20). All his devotion was transferred to this new centre. Formerly his energy had been directed to preparing people for God's Kingdom by imposing on them strict Pharisaic interpretation of the Law. Now all that seemed useless in the light of what God himself had done for humanity through Jesus. Henceforth his one aim was to proclaim the faith of Jesus as Lord everywhere. Immediately after his conversion Paul spent a period of solitude in Arabia. He then took up residence in Damascus. There presumably he established contact with the Christians he had originally planned to harm and received from them information about Jesus and his teaching as well as experience of Christian fellowship. Damascus was the base for his first missionary work, but nothing is known of the effects of his mission in the region. |
바울은 [갈라디아인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흩어진 개종자들을 체포하기 위해 다마스쿠스로 가던 도중 환상을 보고 개종하게 되었다는 [사도행전](갈라 1:15~16)의 진술을 확인하고 있다. 바울 자신의 진술은 아쉬울 정도로 짧다. "하느님은 내가 나기 전에 이미 은총으로 나를 택하셔서 불러주셨고 당신의 아들을 이방인들에게 널리 알리게 하시려고 기꺼이 그 아들을 나에게 나타내주셨다". 이보다 긴 진술은 [사도행전]에 3회 나오는데, 이 진술들은 바울의 내적 경험의 본질로 추정되는 것을 극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리스도교에 대한 극단적인 적대감에서 벗어나 그리스도교에 한평생 헌신하도록 바울을 변화시킨 것은 계시였음이 분명하다. 바울의 개종을 심리학적으로 내적인 갈등의 해결책이었다고 설명하는 학자들이 많다. 그러나 바울이 양심의 가책으로 고통받았다는 견해는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 7장을 오해한 것이다.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 7장은 자서전이 아니고 성숙한 그리스도교적 경험에 비추어본 보편적인 경험과 관련되어 있다. 개종하기 이전의 바울이라면 그곳에 나오는 용어를 사용하지 못했을 것이다. 실제로 다른 구절을 살펴보아도 바울의 초기생애는 이와같은 갈등과는 무관했음이 분명하다. 그는 율법을 지키는 데 적극적이었으며, 율법의 기준으로 보아도 흠 없는 사람이었다. 바울 자신의 진술은 예언자의 소명에 대한 [구약성서]의 진술과 매우 흡사하다. 바울이 개종했을 때 실제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정확하게 말할 수는 없지만, 확실히 그 핵심은 영광 가운데 나타난 예수를 보았다는 것이다. 이 환상을 보고 바울은 예수가 그리스도인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죽은 자로부터 부활하여 주(主)로서 하늘에 올려졌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또한 이 환상은 예수가 십자가에 처형당한 것은 잘못이라는 증거이기도 했다. 그리하여 예수의 십자가 처형은 더이상 저주로 여겨지지 않게 되었고, 그의 죽음은 다른 사람들을 위한 희생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바울에게 이와 같은 인식의 전환은 우주적인 의의를 가진 것이었다. 그는 그 시대의 많은 유대인들처럼 세상을 악으로부터 해방시키고 영구적인 평화와 정의를 수립하기 위해 하느님이 오실 마지막 심판의 날이 임박했다고 믿었다. 그러므로 바울은 자신의 소명이 온 나라 백성으로 하여금 하느님의 도래를 예비하도록 그들을 위한 선교사가 되는 데 있다고 생각했다. 이 대망(待望)에서 새로운 것으로 여겨지는 점은 예수 그리스도에게 부여된 위상이다. 사도들이 최초로 행한 설교와 마찬가지로 바울은 인류의 죄를 위해 죽은 예수가 지금 하느님의 심판의 대행자로서 하늘에 있다고 믿었다. 그를 믿고 그를 주로 인정하는 사람들은 심판의 날에 그들의 구원자인 예수를 영접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해서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은 바울이 행한 설교의 기초가 되었다. 이와 더불어 그는 그리스도의 희생적 죽음에서 드러난 하느님의 사랑을 선포했다. 그는 그리스도가 "나를 사랑하고 또 나를 위해서 당신의 몸을 내어주셨다"(갈라 2:20)고 믿었다. 그의 헌신은 오로지 이 새로운 중심을 향한 것이었다. 이전에 그는 사람들에게 율법에 대한 엄격한 바리새파적 해석을 주입함으로써 그들이 하느님의 나라를 위해 대비하도록 정력을 쏟았다. 그런데 하느님 자신이 예수를 통해 인류를 위해 한 일을 생각해보면 이 모든 것은 부질없는 짓이다. 그후 바울은 어느 곳에서든 예수가 주님이라는 신앙을 선포하고자 했다. 개종 직후 바울은 아라비아에서 홀로 고독한 시간을 보냈으며 다음에는 다마스쿠스에 거주했다. 아마도 그곳에서 그는 그리스도인들과 접촉했을 것이다. 예전의 바울은 그들에게 해를 입히고자 했지만 지금은 그들로부터 예수와 그의 가르침에 대한 정보를 얻고 그리스도교적 친교의 경험을 나누었을 것이다. 다마스쿠스는 바울의 첫번째 선교 활동지였으나 이 지역에서 벌인 바울의 선교 활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
3. Paul in Antioch. |
안티오크의 바울 |
After three years his work in Damascus came to an abrupt end. Somehow he had fallen foul of the ethnarch (governor) of the region of Nabataean Arabia. The ethnarch set a watch on the gates of Damascus, but Paul escaped over the wall in a basket and made his way to Jerusalem. There he met Peter, the Apostle, and James, the Lord's brother. This was an important meeting, for it established Paul as a recognized Apostle alongside the founders of the church at Jerusalem. The visit was brief, and Paul did not meet the Christian communities in the vicinity. Most likely this was due to the danger of reprisals from the Pharisees, who regarded Paul as a renegade. Therefore, after onl y two weeks, he set out on a new mission to Cilicia and Syria, with a base in his native city of Tarsus. About this mission, again, there is no information. At some point Paul moved to Antioch, the capital of Syria, to assist Barnabas in his successful mission there. The converts included a large number of Gentiles. This eventually led to a serious crisis, in which Paul emerged as the champion of the Gentiles. The controversy, which lasted several years, stimulated Paul's most important contribution to Christian theology. His stand on behalf of the Gentiles ensured that Christianity became not just a Jewish sect but a universal religion. The point at issue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Jewish and Gentile Christians. Primitive Christianity was a closely knit fellowship with the common meal and the Eucharist (thanksgiving for the sacrificial death of Christ) at the heart of it. But the Jewish purity rules made Jews reluctant to eat with Gentiles for fear of transgressing the Law. Jesus had taught that purity of heart was more important than attention to rules, but this did not lead his followers to abandon them. But at Antioch the accession of Gentile converts created a mixed congregation, in which the Jewish members were content to eat with the Gentiles for the sake of Christian fellowship. In Jerusalem, however, since the death of Stephen, the Christians had had to take great care not to offend Jewish susceptibilities, and the prospect of making headway in the mission there depended on their being seen as faithful to the Law. Thus reports of the liberal attitude of the Christians in Antioch were bound to be extremely damaging. Some of the Jerusalem Christians who were converted Pharisees even held the view that Gentile converts should be required to accept circumcision and the obligations of the Law. Paul states in Galatians that he did not revisit Jerusalem for 14 years, and, when he finally did so, it was to deal with the problem of Gentile membership of the church. This conflicts with the information in Acts, which tells of a visit by Paul and Barnabas to bring relief during a famine at some time in AD 47-49. Acts then describes a further visit to deal with the Gentile issue. Most scholars today identify the latter visit with that described in Galatians. This means that Luke, in writing Acts on the basis of various sources, either presented twice what was actually one visit or wrongly included Paul's name in the earlier relief visit. Antioch continued to be Paul's base for further pioneering work. Acts records three itineraries, generally referred to as missionary journeys, spanning a number of years. The second visit to Jerusalem probably took place at the end of the first of these. |
3년 후 바울의 다마스쿠스 활동은 돌연 중단되었다. 그는 아라비아 나바테아족의 족장(통치자)과 충돌했다. 족장은 다마스쿠스의 모든 성문에 파수를 세웠으나, 바울은 광주리 속에 숨어 성벽을 넘어 피신한 후 예루살렘으로 갔다. 그곳에서 사도 베드로와 예수의 동생 야고보를 만났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만남이었다. 왜냐하면 이 모임에서 바울은 예루살렘 교회 창건자들과 나란히 사도로 공인받았기 때문이다. 방문기간은 짧았고 바울은 인근 지역의 그리스도교 공동체들을 방문하지 못했다. 그것은 바울이 바리새파의 보복을 당할 우려가 컸기 때문이다. 바리새파는 바울을 배교자로 낙인찍었다. 2주일 만에 바울은 실리시아와 시리아로 새로운 선교를 하기 위해 떠났다. 이 선교활동의 기지는 그의 고향 타르수스였지만 이 선교에 대해서도 알려진 것은 없다. 그후 바울은 시리아의 수도 안티오크로 가서 바르나바의 성공적인 선교 활동을 도왔다. 개종자들 가운데 대다수는 이방인들로서 이로 인해 심각한 위기가 초래되었다. 이 위기에서 바울은 이방인들의 옹호자로 등장했고 수년간 계속된 논쟁은 바울에게 큰 자극을 주었으며, 이 논쟁을 통해 그는 그리스도교 신학에 중요한 공헌을 하게 되었다. 이방인을 옹호한 그의 입장으로 인해 그리스도교는 단순히 유대교의 한 종파가 아니라 보편적인 종교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논쟁의 초점은 유대계 그리스도교인들과 이방계 그리스도교인들의 관계였다. 원시 그리스도교는 밀접하게 결합된 친교체였으며, 그 중심은 공동식사와 성만찬(그리스도의 희생적 죽음을 기리는 감사의 식사)이었다. 그런데 유대교 정결 규정에 매인 유대인들은 율법을 위반할까 두려워 이방인들과 함께 식사하는 것을 꺼려했다. 예수는 마음의 순결이 율법 준수보다 더 중요하다고 가르쳤지만 이때문에 그의 추종자들이 율법을 포기한 것은 아니었다. 이방인들이 증가하자 교회는 이방인과 유대인들이 섞이게 되었으며, 유대인 출신의 교인들은 그리스도교적 친교를 위해 이방인들과 함께 식사하는 것에 불평을 터뜨렸다. 스테파노의 죽음 이후 예루살렘의 그리스도교도들은 유대교의 반감을 자극하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 했다. 예루살렘에서 선교활동을 발전시키려면 반드시 율법에 적합하다는 인정을 받아야 했다. 그러므로 안티오크 그리스도교인들의 자유주의적 태도에 대한 소문은 그들에게 극히 해로운 일일 수밖에 없었으며, 바리새파 출신의 개종자들은 이방인 개종자들도 할례와 율법 준수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기까지 했다. 바울은 [갈라디아인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이 14년 동안 예루살렘을 다시 방문한 적이 없었다고 말한다. 그리고 마침내 예루살렘을 다시 방문했을 때, 그가 내건 목표는 이방인들의 교인 자격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었다. 이 점은 [사도행전]의 기록과 배치된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바울과 바르나바는 47~49년의 대기근 때 의연금을 전달하기 위해 예루살렘을 방문했다고 한다. [사도행전]은 이방인 문제를 다루기 위해 바울이 또 1차례 예루살렘을 방문했다고 전한다. 이로 미루어 보아, 다양한 자료에 근거하여 [사도행전]을 기록한 루가는 실제로 1번 이루어진 방문을 2번 이루어졌다고 기록했거나, 이전에 의연금을 전달하기 위해 예루살렘을 방문한 사람들의 명단에 실수로 바울의 이름을 포함시킨 것이다. 안티오크는 줄곧 바울의 선구적인 활동이 이루어진 기지였다. [사도행전]은 3차에 걸친 여행을 기록하고 있다. 이 여행은 일반적으로 오랜 세월에 걸쳐 진행된 선교여행으로 알려져 있다. 제2차 예루살렘 방문은 아마도 제1차 선교여행이 끝나갈 무렵에 이루어졌을 것이다. |
4. First missionary journey. |
제1차 선교여행 |
Acts describes how Paul and Barnabas, accompanied by Barnabas' cousin John Mark, set out for Cyprus, visiting Salamis and Paphos. They then crossed to the mainland (modern Turkey), landing at Perga (near modern Murtana), but Mark left them and returned to Jerusalem. They worked in Pisidia and Pamphylia, which formed the southern part of the Roman province of Galatia, beginning in Pisidian Antioch (near modern Yalvaç). Acts records a sermon that Paul preached in the synagogue, which is a fine specimen of the presentation of the faith to a Jewish audience in New Testament times. After further stops at Iconium (modern Konya), Lystra (near modern Hatunsaray), and Derbe (unidentified), they retraced their steps to Perga and the port of Attalia (modern Antalya) and then sailed back to Antioch. It is unclear from this account how many of the new converts were drawn from local Jewish communities and how many were Gentiles. The monotheism and strong morality of the Jews always attracted to the synagogues Gentiles who proved to be receptive to the Christian mission, especially as Paul did not require circumcision and observance of the Law for Christian fellowship. In some places the new congregations may have been entirely composed of Gentiles. At this time Greek and Roman traditional religion was losing its hold, and a deputation had come from Jerusalem to Antioch to insist that the Gentile converts should be circumcised. This led to Paul's second visit to Jerusalem. Paul says that he and Barnabas went "by revelation," perhaps meaning as a result of a message from a prophet, not in response to a summons from Jerusalem as stated in Acts. The party from Antioch included Titus, a Gentile whom Paul had taken into his mission team. It is almost impossible to harmonize the information in Acts 15 and Gal. 2, but it is best to regard them as accounts of the same occasion. In Jerusalem there seem to have been three main actions. First, Paul and Barnabas had a private consultation with James, Peter, and John, in which they compared the content of their mission preaching and established that they were in basic agreement. This confirmed Paul's contention that the gospel message did not require the circumcision of Gentile converts. A campaign by the hard-line party to have Titus circumcised was firmly resisted. Second, a larger conference was convened in order to inform all about the Gentile mission so that they should have no doubt that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had been at work. This resulted in the decision that the Gentile mission should continue without pressure to Judaize converts. Paul would carry this on from Antioch, while Peter would continue the mission among Jews from the base at Jerusalem. Paul, however, was urged to bear in mind the precarious position of the Jerusalem church. Third, a letter was sent to Antioch with minimum rules for Gentile converts: to abstain from meat used in pagan sacrifices, to use onl y kosher meat according to Jewish custom, and to observe Jewish restrictions on sexual relationships. Later events show that the contents of this letter were unknown to Paul, and it is conjectured that it belongs to a later attempt to regulate relationships with the numerous Jewish Christian congregations of Judaea and Syria after Paul had ceased to have close contact with Antioch. (see also Index: Jerusalem, Council of) Paul's view had been endorsed by Peter, who subsequently visited the church in Antioch. Apparently he had no difficulty in sharing in the life of the mixed congregation. Yet when some hard-liners came from Jerusalem, Peter felt compelled to withdraw from meals with Gentile members. Other Jewish members also yielded to the pressure, including even Barnabas. Paul, however, was adamant in his conviction that this was fundamentally wrong. This crisis could never have arisen if the letter from Jerusalem had already been sent; it must have been due to differing views of the implications of what had been agreed. Not onl y Paul but also Peter and the main body in Jerusalem had assumed that the purity rules would not be allowed to interfere with table fellowship in mixed congregations. But it is clear from the trouble over Titus that the hard-liners would demand separation into two groups and then claim that the unity of the congregation would require Judaizing of the Gentile converts. Paul insisted on his own understanding of the agreement, and the visitors left. |
[사도행전]은 바울과 바르나바가 바르나바의 조카인 요한 마르코를 대동하고 키프로스로 여행을 떠나 살라미스와 파포스(바포)를 방문한 내력을 묘사하고 있다. 그후 그들은 소아시아(지금의 터키)로 건너가 페르가(베르게, 지금의 무르타나)에 상륙했다. 이곳에서 마르코는 그들과 헤어져 예루살렘으로 되돌아갔다. 그들은 피시디아(비시디아)와 팜필리아(밤필리아)에서 활동을 벌였다. 피시디아와 팜필리아는 피시디아 안티오크(지금의 얄바치 근처)에서 시작되는 로마의 속주 갈라디아의 남부지방이다. [사도행전]은 유대인 회당에서 바울이 행한 설교를 기록하고 있다. 이 설교는 신약시대에 사도들이 유대인 청중에게 신앙을 증거한 하나의 표본이다. 이코니움(이고니온, 지금의 코니아), 리스트라(지금의 하툰사랴 근처), 데르베에 머문 뒤 그들은 오던 길을 거슬러 올라가 페르가까지 갔고, 그곳에서 아탈리아(지금의 안탈랴) 항으로 내려가 안티오크로 가는 배를 탔다. 새로운 개종자들 가운데 몇 명이 유대교 지역공동체 출신이고 몇 명이 이방인이었는가는 [사도행전]의 기록으로는 분명하게 알 수 없다. 유대인들의 유일신론과 엄격한 도덕성에 이끌려 유대인 회당에 참여한 이방인들은 그리스도교 선교에 수용적인 자세를 가지고 있었음이 분명하다. 그렇게 된 특별한 이유는 바울이 그리스도교적 친교를 위해 할례와 율법의 준수를 요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어떤 곳에서는 전적으로 이방인으로만 새로운 회중이 구성되어 있었던 것 같다. 그당시 그리스 로마의 전통적인 종교는 지지기반을 상실하고 있었다. 그런데 예루살렘으로부터 안티오크에 파견된 사람들은 이방인 개종자들도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바울이 예루살렘을 방문하게 된 것은 이때문이었다. 바울은 자신과 바르나바가 '계시를 받고' 예루살렘으로 갔다고 증언한다. 아마도 이 말은 [사도행전]에 기록된 바와 같이 예루살렘의 소환에 따라 그곳으로 간 것이 아니고 한 예언자의 메시지에 공감한 나머지 예루살렘을 방문하게 되었다는 뜻일 것이다. 안티오크에서 예루살렘으로 간 사람들 가운데는 디도가 끼여 있었다. 이미 바울은 이 이방인을 자신의 선교 팀에 받아들였던 것이다. [사도행전] 15장의 기록과 [갈라디아인들에게 보낸 편지] 2장의 내용을 조화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최선의 방법은 이 둘을 동일한 사건에 대한 상이한 기록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예루살렘에서는 다음의 3가지 주요조치가 취해졌던 것 같다. 첫째, 바울과 바르나바는 야고보·베드로·요한과 사적인 면담을 가졌다. 이 면담에서는 선교를 하면서 설교한 내용들을 서로 비교했으며, 그 내용이 기본적으로 같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것은 복음의 메시지를 전하는 데 이방인 개종자들의 할례가 필요조건이 아니라는 바울의 주장이 승인되었다는 뜻이다. 디도에게 할례를 받게 해야 한다는 강경파의 주장은 단호하게 거부되었다. 둘째, 대규모의 협의회가 개최되었다. 그것은 이방인 선교에 관해 모든 것을 알려줌으로써 성령의 능력이 이방인 선교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것을 추호도 의심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결과 개종자들을 유대화하기 위해 더이상의 압력을 가하지 않고 이방인 선교를 계속한다는 결정이 내려졌다. 바울은 안티오크로부터 이방인 선교를 계속 수행하고, 베드로는 예루살렘을 기지로 삼아 유대인들에게 계속 선교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바울은 예루살렘 교회가 확고한 입장을 취하지 않았다는 점을 유념하지 않을 수 없었다. 셋째, 이방인 개종자들을 위한 최소한의 규칙을 알리는 서신이 안티오크로 발송되었다. 이교의 희생제의에서 사용된 고기를 삼갈 것, 유대교 관습에 따라 정결한 고기만을 사용할 것, 성 관계에 대한 유대교의 규례들을 준수할 것 등이 그것이다. 나중에 일어난 사건들을 종합해보면 이 서신의 내용은 바울 알려져 있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서신은 바울이 안티오크를 떠난 직후 유대와 시리아의 수많은 유대계 그리스도인 회중과 바울의 관계를 규제하려는 추후적인 시도의 일부였다고 추정된다. 바울의 견해는 베드로의 지지를 받았다. 곧이어 베드로는 안티오크 교회를 방문했다. 확실히 그는 이방인과 유대인들이 섞인 회중의 삶을 함께 나누는 데 아무런 어려움도 겪지 않았다. 그렇지만 예루살렘으로부터 몇 사람의 강경파가 안티오크에 오자 그는 이방인 교인들과 식사를 나누는 일을 삼가하지 않을 수 없었다. 바르나바를 포함한 다른 유대인 교인들도 그들의 압력에 굴복했다. 그러나 바울은 그런 일이 근본적으로 잘못되었다는 강한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만일 예루살렘에서 부친 서신이 이미 바울 보내졌다면 이런 위기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이 위기는 이미 합의한 내용에 대한 이견에서 비롯되었음이 틀림없다. 바울뿐만 아니라 베드로와 예루살렘 교회의 주요인물들도 정결 규정이 이방인들과 유대인들이 섞여 있는 회중의 친교를 방해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당연시했다. 그러나 디도를 둘러싼 분란으로부터, 강경파가 회중을 두 집단으로 나눌 것을 요구하고 회중의 통일성을 기하기 위해 이방인 개종자들의 유대화를 필요조건으로 삼고 있다는 것이 명확히 드러났다. 바울은 합의에 대해 자신이 이해하고 있는 바를 고집했고 방문자들은 안티오크를 떠나버렸다. |
'성경 > 바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시로서의 바울의 복음 (0) | 2009.09.04 |
---|---|
제2장 계시로서의 바울의 복음 (0) | 2009.09.04 |
선교여행 (0) | 2009.09.04 |
바울의 전도여행1 (0) | 2009.09.04 |
바울은 이혼을 허락하였는가?(고전 7:1-16 연구) (0) | 2009.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