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2/메모

영화 수입가는 이렇게 구성됩니다

은바리라이프 2009. 2. 11. 15:09

영화 수입가는 이렇게 구성됩니다

eunylike

답변채택률 100.0%

2003.01.13 01:06

우선 개념을 명확하게 해야 하는 것이, 우리나라에서 외국 영화를 수입할때 판권 소유자에게 지불하는 비용은 상영권한에 대한 판권료와 필름값으로 구성됩니다. 판권료의 경우 영화마다, 상영되는 나라마다 모두 다릅니다. 또한 같은 영화라도 그 영화가 우리나라에 있는 직배사를 통해서 들어 오느냐, 아니면 국내 수입사에 의해서 들어오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지요. 예를 들어 국내 수입사를 통해 들어온 <반지의 제왕>같은 경우 만약 미국 제작사와(뉴라인) 고정 파트너 쉽 관계인 워너브라더스의 한국 지사를 통해 들어왔다면 국내 수입사보다 싼 가격에 판권을 구입하게 되는게 보통입니다(<반지의 제왕>의 경우 2편은 국내 수입사와 미국 판권자간 파트너 쉽에 의해 관례보다 싼 가격에 수입되었습니다만,이 경우는 아주 예외적인 사례입니다)

각 영화의 판권료를 모두 밝힐 수는 없지만 요즘같은 방학시즌에 서울 40개관 이상에서 상영되는 외국 영화들은 최소한 10억원 내외의 판권료를 지불해야만 상영권을 얻게 됩니다. 반면 유럽 영화나 제 3세계 영화들은 적게는 1000만원에서부터 많게는 3-4억원 정도에서 판권가가 결정됩니다. 물론 판권가는 판권 소유자와 구매 희망자간의 협상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여러가지 변수가 개입됩니다. 쉬운 예로 한때 우리 나라 업체간 과열 경쟁으로 소위 "아트 영화"로 분류되는 유럽 영화의 판권가가 5억원까지 올라갔던 적도 있습니다.

또 판권 유효기간을 5년으로 하느냐 10년으로 하느냐, 비디오를 포함한 극장 이후 채녈(이것을 부가 판권이라고 합니다)--유료 케이블 티비, 무료 케이블 티비, 공중파 티비등등중 어디까지 구매하느냐에 따라 같은 영화라도 가격이 달라집니다.(보통의 경우 비디오, 케이블, 공중파까지 해서 5년으로 하는것이 통상 관례입니다)

이에 비해 질문자가 언급하신 "필름값"은 말 그대로 물리적인 필름(정확하게는 프린트라고 합니다)의 가격은 모든 영화들이 거의 비슷해서 프린트 하나당 약 200만원의 비용이 들어갑니다. 프린트에는 말하자면 원본이라고 할 수 있는 네거프린트(음화)와 이것을 복제한 포지프린트(양화)가 있는데 우리가 극장에서 보는 것이 바로 포지 프린트 입니다. 특별히 수입사가 화질에 신경쓰지 않는다면 네거프린트를 하나 들여와 복제를 하게 되는데 이 경우의 개당 가격이 대략 200만원 내외가 되는것입니다.

참고로 미니멈 개런티라는 방식이 있는데 이것은 쉽게 말하면 수입사가 최소한의 가격을 보장하고 일정한 관객 동원수에 도달하면 그 이후 수입의 몇퍼센트를 배급사에 지불하는 것입니다. 흥행이 확실치 않은 영화나 반대로 너무 흥행이 확실해서 배급사 쪽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는 경우에도 활용됩니다.

그리고 물론! 외국 영화도 수입품이기 때문에 여기에 관세 등등의 세금이 붙습니다. 여기까지가 대략 수입 영화들의 "원가"라고 할 수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