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극/기다리는사람들

이스라엘종교와 제사장신탁- 박종수 저

은바리라이프 2008. 9. 6. 12:37

이스라엘종교와 제사장신탁- 박종수 저  

<이스라엘종교와 제사장신탁> 박종수 저. 한들출판사, 1997.

제 1장의 나머지 부분에서 필자는 신점에 관한 연구역사를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하여 간단히 서술할 것이며, 이 과정에서 독자들의 신점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다양한 정의(定意)와 신점의 사회적 기능이 조명될 것이다.
       제 2장에서 이스라엘을 포함한 고대 근동지방에서 성행했던 다양한 형태의 신점행위들이 논의되며, 이 과정에서 독자들은 다양한 신점행위에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들을 발견하게 되는데 그것은 많은 경우에 있어서 신점은 양자택일 형식의 질문과 그에 따른 대답형식(form of binary question and answer)으로 진행된다는 점이다.  그러한 양자택일 형식은 제사장 신탁의 그것과 일치한다(삼상 14:37; 23:2, 4, 11; 30:8).  다양한 형태의 신점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독자는 신점이 다양한 삶의 자리에따라 여러모로 이용된 사실을 알게될 것이다.  필자는 별도로 제사장 신탁이 차용했던 제비신점(lot-divination)의 예들을 여러 문화의 종교적 전통에서 조명해 봄으로써 이스라엘의 제사장 신탁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자 노력할 것이다.
       제 3장에서 필자는 구약성서 안에서 나타나는 제비신점에관한 용어를 성서 언어 의미론적 견해에서 재조명할 것이다.  제비신점에 대한 언어 분석을 통해 독자는 신성한 제비, 즉 우림과 둠밈을 통해 이루어진 제사장 신탁에 대한 보다많은 정보를 얻게될 것이다.  구약성서의 제사장 신탁에 대한 대표적인 예들이 제 4장에서 소개되는데, 이과정에서 필자는 관련된 성서귀절의 실재상황을 재구성하기위해 인류학적인 통찰력을 그 해석에 적용할 것이다.
       제 5장은 관련된 성서 본문들로부터 제자장 신탁의 절차를 양식 비평적 차원에서 자세히 서술할 걱이며, 제 6장에서는 이 논문의 결론부분으로써 다음과 같은 주제들이 요약 정리될 것이다: 1)제사장 신탁의 성격; 2)제사장 신탁의 역활; 3)신-인 중재자(diviner)로서의 제사장.  이 과정에서 1)제사장 신탁의 용도; 2)제사장 신탁의 절차; 3)제사장 신탁과 거대 이스라엘의 종교적 전통과의 관계등이 논의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