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 신학 강의 노트 바울 신학 강의 노트 Prof. 노재관의 「주후 1996년도 제 1학기 바울 신학 강의 노트」 : 13개의 서신서들을 중심으로 바울의 사상을 조직적, 체계적 연구 1. 바울 사상의 배경 : 바울의 자료에 대한 신빙성을 인정할 만한 것은 사도행전과 13개의 서신들이 있다. [바울의 헬라적 배경] - 길리기아 다소에서 .. 성경/바울 2009.09.04
바울 신학의 율법과 복음 문제 바울 신학의 율법과 복음 문제 (김남중, 1996, 신약신학, Book Review) 서 론 (Opening Sentence) 어떠한 신학과 교리적 체계도 신(神)을 해석하고 측정하는 절대적인 바로미터일 수는 없다. 신학은 단지 우리가 아는 것만큼의 하나님에 대한 지식(知識)일 뿐이다. 아무리 위대한 신학과 교리라 하더라도 역시 그것.. 성경/바울 2009.09.04
데살로니가 전,후서에 나타난 바울의 종말론 데살로니가 전,후서에 나타난 바울의 종말론 I. 들어가며 바울서신들은 교리서신이라기 보다는 목회서신의 특징을 가진다. 그것들은 어떤 특정상황으로 인해 쓰여졌으며 해당교회의 문제점, 처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바울의 뜨거운 마음을 쏟아낸 편지들이다. 데살로니가 전·후서는 바울의 종말론.. 성경/바울 2009.09.04
바울과 순자의 인간론 비교연구 바울과 순자의 인간론 비교연구 서 대 인 1 9 9 2 년 바울과 순자의 인간론 비교.HWP Ⅰ. 서 론 A. 연 구 목 적 기독교가 이땅에 전래된 이후, 한국의 다종교 상황으로 인하여 기독교와 타종교간의 대화는 자연스럽게 행해지게 되었다. 기독교와 샤마니즘의 비교연구, 기독교와 불교의 비교연구, 그리고 기.. 성경/바울 2009.09.04
바울의 종말 신앙 연구 바울의 종말 신앙 연구 바울의 종말신앙연구.hwp ---바울의 종말적 윤리 이해 중심으로--- 이 지 원 서론 ‘종말론’은 우리사회에 내재 되어 있는, 많은 불만적 요소의 표출 창구로 작용을 하는 예가 많다. 특히 얼마전 ‘다미 선교회’의 10월 28일 주장은 과히 충격적이라 할수 있다. 이장림씨의 ‘다미.. 성경/바울 2009.09.04
신약 성경의 저작시기 신약 성경의 저작시기는 다음과 같다. 갈라디아서는 바울의 1차 전도 여행 직후 AD 49년에 기록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데살로니가전서는 2차 전도 여행 중인 50-51년이고, 데살로니가후서는 연대를 알 수 없고, 고린도전서는 바울의 3차 전도여행 중인 54년이며, 고린도후서도 바울의 3차 전도여행 중.. 성경/바울 2009.09.04
예수와 바울에 대한 소고 예수와바울에대한 소고.hwp 예수와 바울에 대한 소고 - 종말론을 중심으로- 백 유 현 제 1 장 서 론 흔히 ‘바울과 예수’라는 주제는 수십년 동안 신약 신학자들의 의제 역할을 해왔다. 그 결과 기독교 역사와 사상 가운데 가장 우뚝 솟아 있는 두 인물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형성.. 성경/바울 2009.09.04
예수는 누구의 손을 들어주었을까? 베드로와 바울의 교권다툼 예수는 누구의 손을 들어주었을까? 예수 사후에(일설엔 부활했다는 흥미로운 주장도 있음) 종단 운영을 두고 예수의 정통 제자들인 베드로와 동생 야고보가 주도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예수로부터 직접 사사를 받지 않았고, 이들 신흥종교를 배척하고 있던 바울이란 자가 있었습니다. 바울은 당.. 성경/바울 2009.09.04
The Meaning of Paul for Today Chapter 12 The Meaning of Paul for Today Chapter 12 Chapter 12. The Life of the Divine Commonwealth by C. Harold Dodd 유대주의에 있어서 정교(正敎) 보다는 정행(正行)이 종교적인 인간의 시금석(판단기준) 이었기 때문에 바리새인으로서 바울은 최고로 행위에 관심을 가졌다. 그 행위의 기준은 "율법의 보다 비중 있는 문제"를 지니고 있.. 성경/바울 2009.09.04
바울 신학으론 본 부활 바울 신학으론 본 부활 고전15장은 이른바 `부활장`으로서 사도바울은 만일 그리스도의 부활이 없었다면 복음 전파 곧 (케그리마)도, 거기에 따른 믿음, 곧(피스티스)도 헛 것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처럼 바울 사도가 힘있게 증거한 예수 부활사건은, 오늘 우리 모두 경건한 성도들에게 그리스도이신 예.. 성경/바울 2009.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