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7장에 관한 신학적 고찰과 김세윤교수의 견해 로마서 7장에 관한 신학적 고찰과 김세윤교수의 견해 중략... 그렇다면 롬 7장이 무엇이냐? 크게 두가지 설이 있다 바리새인으로서의 자서전적인 것이 아니라면 하나는 그리스도의 은혜로 의롭다함을 받은 그리스도인들이 성화의 과정에서 하나님의 요구와 그래서 의인으로 살고자 하는 과정 중에서 .. 성경주석강해/바울서신 2008.11.03
최근 로마서 연구 동향 최근 로마서 연구 동향 장흥길교수 (장신대 신약학) Ⅰ. 로마서 연구사 1517년 마틴 루터(Martin Luther)에 의해 일어난 종교개혁은 그의 로마서 이해에서 시작되었다. 루터는 로마서 강해를 통해 바울과 바울서신을 다시 이해하게 되었고 이때 발견한 믿음에서 나온 하나님의 의가 종교개혁의 중심 사상이 .. 성경주석강해/바울서신 2008.11.03
[스크랩] 로마서 요약 묵상 로마서 묵상 (믿음은 순종이다. 복음은 성령의 능력으로 신자들이 복음을 믿고 순종하는 성화의 삶믈 통하여 하나님이 바라시는 거룩한 자가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장: 1. 예수님을 통하여 그리고 그의 이름을 위하여, 우리가 은혜와 사도의 직분을 받아 이방인 중에서 믿어 순종케 한다(5) 2. .. 성경주석강해/바울서신 2008.11.03
연구 3 사도 바울의 부탁과 축복(몬1:17-25) 연구 3 사도 바울의 부탁과 축복(몬1:17-25) --> 연구 3 사도 바울의 부탁과 축복(몬1:17-25) 노예 출신인 신자 오네시모를 위한 여러 가지 변호와 권면을 그 주인 빌레몬에게 하였던 바울은 이제 한 걸음 더 나아가 오네시모가 진 빚을 바울 자신이 변제해 줄 것을 약속하면서 빌레몬의 기쁜 소식을 확신하고.. 성경주석강해/바울서신 2008.04.26
연구 2 오네시모를 위한 간구(몬1:8-16) 연구 2 오네시모를 위한 간구(몬1:8-16) --> 연구 2 오네시모를 위한 간구(몬1:8-16) 바울은 그의 사도적 권위를 가지고 빌레몬에게 할 일을 지시할 수도 있었으나 겸손과 사랑의 마음으로 이제는 오네시모가 자신과 빌레몬 모두에게 유익할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더구나 바울은 오네시모를 빌레몬에게 .. 성경주석강해/바울서신 2008.04.26
연구 1 빌레몬에 대한 칭찬(몬1:1-7) 연구 1 빌레몬에 대한 칭찬(몬1:1-7) --> 연구 1 빌레몬에 대한 칭찬(몬1:1-7) 바울의 서신서 가운데 가장 간략하며 사신서(私信書)의 성격을 띠고 있는 본 서는 회심한 일개 노예의 안전을 위하는 사도 바울의 애틋한 심정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그 중 본문은 일개 노예에 불과한 한 영혼의 안전을 도모하.. 성경주석강해/바울서신 2008.04.26
제 13 강 빌레몬서 제 13 강 빌레몬서 --> 제 13 강 빌레몬서 1. 저자 혹자들은 본 서 속에 교리적인 내용이 없다는 점 때문에 바울의 저작설을 부인하나 본 서는 전통적으로 내·외적인 증거에 의하여 바울의 저작으로 인정되어 왔다. 1) 외적 증거 초대교회의 교부인 이그나티우스(Ignatius), 터툴리안(Tertullian), 오리겐(Origen) .. 성경주석강해/바울서신 2008.04.26
연구 2 성도의 사회생활(딛3장) 연구 2 성도의 사회생활(딛3장) --> 연구 2 성도의 사회생활(딛3장) 바른 교훈을 교회의 여러 계층 사람들에게 보다 구체적으로 적용할 것을 명한 바울은 이제 그 내용을 더욱 확대하여 신자들이 국가와 불신자들에 대하여 가져야 할 태도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아울러 이단에 대하여 취해야 할 디도의 .. 성경주석강해/바울서신 2008.04.26
연구 1 목회사역에 대한 권면(딛1,2장) 연구 1 목회사역에 대한 권면(딛1,2장) --> 연구 1 목회사역에 대한 권면(딛1,2장) 본문은 자신의 사도적 권위를 밝힌 바울의 긴 인사말에 이어 장로의 임명 조건과 그레데 지방의 거짓 교사들에 대한 경고를 다루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교회 내의 여러 부류의 신자들을 적극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양육할 것.. 성경주석강해/바울서신 2008.04.26
제 12 강 디도서 제 12 강 디도서 --> 제 12 강 디도서 1. 저자 본 서는 고대 문헌들과 외증을 통하여 바울이 기록하였다는 것이 입증되므로, 목회서신 중에서도 비교적 논쟁이 적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목회서신들과 마찬가지로 19C 초부터 대두된 비평주의적 성경 해석에 따른 비판적 견해, 즉 ① 역사적인 이유, .. 성경주석강해/바울서신 2008.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