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G뉴스/기독뉴스

아이티 구호활동 ‘이중 고통’

은바리라이프 2010. 11. 30. 20:31

아이티 구호활동 ‘이중 고통’
콜레라 확산 원인 놓고 괴소문, 폭력시위 잇따라
2010년 11월 22일 (월) 09:50:21 이미영 chopin@kidok.com

아이티에서 콜레라가 확산돼 사망자가 1100명을 넘어선 가운데 폭력 시위가 발생하면서 구호활동 또한 차질을 빚고 있다고 18일 <에이에프피>(AFP)가 전했다.

   
  ▲ 지난 1월 지진 참사로 상해를 입은 아이티 주민이 임시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지난달 콜레라가 처음 발병한 이후 국제 구호단체들이 긴급 의료 지원과 구호에 나섰으나 이달 초 허리케인 토마스가 불어 닥친 후 콜레라 사망자가 1000명을 넘어서는 등 급격히 확산되자, 시민들 사이에서 콜레라가 창궐한 원인이 당시 네팔 평화유지군이 아이티에 도착한 직후였다는 소문이 번지면서 유엔평화유지군을 대상으로 한 폭력시위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15일 콜레라가 처음 발병한 아이티 북부 카프 아이시앵에서 수백명의 시위대가 유엔군 기지와 경찰서 등을 대상으로 폭력시위를 벌이는 과정에서 시위대 2명이 총격을 받고 사망하고 14명이 상해를 입었다.
또한 유엔군 쪽에서도 6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현지 경찰이 밝혔다. 또 이틀 뒤인 17일에 이 지역에서 또 다시 폭력 시위가 발생해 1명이 총격으로 사망했다.

시위대는 네팔 평화유지군이 아이티에 도착한 후 1주일 뒤인 지난달 중순부터 콜레라가 번지기 시작했다며, 이들을 대상으로 한 폭력시위를 감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아이티 주재 유엔 사무소는 이날 성명서를 발표해 “이번 사태는 이달 28일 대선을 앞두고 불안한 정국을 조성하기 위한 정치적 동기에서 계획된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 안정과 민주주의를 가로막는 적에게 기만당하지 말아야 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 유엔은 네팔 평화유지군의 책임을 부인하고, 군부대가 주둔한 중부 미르발레 인근 오수 정화조에서 콜레라가 발병했다는 시위대의 주장을 해명하기 위한 진상 규명 작업에 착수했다. 유엔의 빈센조 푸글리스 대변인은 폭력시위로 시내에 긴장 상태가 지속되고 있어 이날 유엔 직원들이 출근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한편, 네팔 평화유지군 대변인은 시위대와의 충돌 이후 유엔군 보호업무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또 현지 경찰이 유엔군 보호를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폭력 시위가 이어지면서 콜레라 구호 및 확산 방지 활동, 그리고 의료 지원을 펼치고 있던 구호단체들이 구호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콜레라 사망자 또한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영국 구호단체 옥스팜(Oxfam)의 줄리 신달 대변인은 “도로들이 시위대와 불타는 타이어로 막혀 있어 현재 구호현장으로 갈 수 없는 상황”이라며 “비누, 정수제, 탈수 방지용 소금 등 핵심 구호품들을 수송하는 트럭들이 구호현장으로 갈 수 없어 콜레라 대응이 늦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지진으로 130만 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한 상황에서 콜레라가 창궐한 것에 더해, 대선을 앞두고 폭력사태까지 발생한 아이티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가 고조된 가운데, 아이티의 이웃 국가인 도미니카공화국에서도 16일 첫 콜레라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미니카공화국의 바우티스타 로하스 공중보건장관은 16일 국내에서 첫 콜레라 환자가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이 환자는 아이티 출신의 32세 남성으로, 도미니카공화국 동부 이게이 지역에서 건설 노동자로 일하던 중 지난 12일 아이티의 고향으로 휴가를 다녀온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이 환자는 이게이 지역의 한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으며, 도미니카 당국은 그에게서 콜레라가 옮겨갔을 가능성이 있는 이들을 격리했다.

도미니카공화국 당국은 아이티에서 콜레라가 확산된 초기에 국경 통제를 강화하고 방역 조치를 취해 왔다. 첫 환자가 발생한 직후, 정부는 불법 월경이 의심되는 이들 또한 조사해 구금하는 등 콜레라 확산을 막기 위한 통제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아이티 보건당국은 16일 현재(현지시각) 지난 10월 이후 콜레라 사망자가 1034명에 이르며 환자 수는 1만 6800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