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박 행방 묘연...북한 대응 주목
[앵커멘트]
재미 교포 선교사 로버트 박 씨가 두만강을 건너 북측으로 잠입해 들어간 지 이틀째가 됐지만 아직 박씨의 행방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북미 간에 대화국면이 조성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은 박씨에 대해 강경조치를 취하기 보다는 조기에 추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함형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성탄절 얼어붙은 두만강을 건너서 북한으로 들어갔다는 재미교포 선교사 로버트 박 씨의 행방은 오리무중입니다.
박 씨가 소속돼 활동했던 대북인권단체 관계자는 박 씨가 강을 건넌 직후 북한 경비병으로 추정되는 여러 명의 사람들이 모여드는 장면이 목격된만큼 북한 당국에 체포돼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북한 당국은 아직 아무런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고 미국 정부도 박씨의 입북 여부를 공식 확인하지 않고 있습니다.
박 씨는 김정일 위원장에게 전달하겠다면서 북한내 모든 정치범 수용소의 폐쇄와 김정일 위원장과 추종자들의 퇴진을 요구하는 내용의 편지를 소지하고 입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우리 정부는 박 씨가 미국 국적이기 때문에 정부가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거의 없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북미관계의 돌출 변수가 될 수 있는 만큼 사태의 전개 과정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이 로버트 박 씨가 김정일 위원장을 거론하면서 인권 문제를 정면으로 비난한 점을 문제시할 경우 12년 형을 선고했던 미국 여기자 2명보다 더 무거운 형벌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같은 경우 모처럼 조성된 북미간의 대화국면에 찬물을 끼얹는 상황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현실적으로 북한이 박씨에 대해 강경한 조치를 취하거나 북미 대화의 협상 카드로 활용할 개연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더욱이 북한이 박 씨를 장기간 구금하면 북한 인권 문제가 국제사회에서 더욱 주목을 받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녹취: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북미간의 대화국면이 펼쳐지는 지금 시점에서 북한이 로버트 박을 장기 억류하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이 문제는 조기에 해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봅니다."
이에따라 외교소식통은 북한이 뉴욕 채널 등을 통해 미국과 조용히 접촉해 로버트 박의 조기 추방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YTN 함형건입니다.
재미 교포 선교사 로버트 박 씨가 두만강을 건너 북측으로 잠입해 들어간 지 이틀째가 됐지만 아직 박씨의 행방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북미 간에 대화국면이 조성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은 박씨에 대해 강경조치를 취하기 보다는 조기에 추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함형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성탄절 얼어붙은 두만강을 건너서 북한으로 들어갔다는 재미교포 선교사 로버트 박 씨의 행방은 오리무중입니다.
박 씨가 소속돼 활동했던 대북인권단체 관계자는 박 씨가 강을 건넌 직후 북한 경비병으로 추정되는 여러 명의 사람들이 모여드는 장면이 목격된만큼 북한 당국에 체포돼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북한 당국은 아직 아무런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고 미국 정부도 박씨의 입북 여부를 공식 확인하지 않고 있습니다.
박 씨는 김정일 위원장에게 전달하겠다면서 북한내 모든 정치범 수용소의 폐쇄와 김정일 위원장과 추종자들의 퇴진을 요구하는 내용의 편지를 소지하고 입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우리 정부는 박 씨가 미국 국적이기 때문에 정부가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거의 없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북미관계의 돌출 변수가 될 수 있는 만큼 사태의 전개 과정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이 로버트 박 씨가 김정일 위원장을 거론하면서 인권 문제를 정면으로 비난한 점을 문제시할 경우 12년 형을 선고했던 미국 여기자 2명보다 더 무거운 형벌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같은 경우 모처럼 조성된 북미간의 대화국면에 찬물을 끼얹는 상황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현실적으로 북한이 박씨에 대해 강경한 조치를 취하거나 북미 대화의 협상 카드로 활용할 개연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더욱이 북한이 박 씨를 장기간 구금하면 북한 인권 문제가 국제사회에서 더욱 주목을 받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녹취: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북미간의 대화국면이 펼쳐지는 지금 시점에서 북한이 로버트 박을 장기 억류하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이 문제는 조기에 해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봅니다."
이에따라 외교소식통은 북한이 뉴욕 채널 등을 통해 미국과 조용히 접촉해 로버트 박의 조기 추방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YTN 함형건입니다.
'GG뉴스 > 기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물상] 북한 인권운동가 로버트 박 (0) | 2009.12.28 |
---|---|
재미동포 로버트 박 무단 입북 (0) | 2009.12.28 |
北 무단 월경한 로버트 박은 누구? (0) | 2009.12.28 |
북한 정치범수용소해체와 인권개선을 위해 월북한 재미인권운동가 로버트박 (0) | 2009.12.28 |
순교 각오 로버트 박, 어떻게 될까? (0) | 2009.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