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ksog.org/image/sub7/4_8_01.gif) |
자궁내막의 분비샘들과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면서 자궁출혈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대부분 폐경기 여성에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자궁 내막암에 선행하거나 동시에 발생할 수 있으며, 세포의 비정형이 없을 때는 원인을 제거하면 정상적인 자궁내막으로 돌아갈 수 있지만 비정상적인 세포들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30%까지 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합니다
|
![](http://www.ksog.org/image/sub7/4_8_02.gif) |
자궁내막에 여성 호르몬 중 황체호르몬 (프로게스테론)의 길항작용 없이 난포호르몬 (에스트로겐)이 지속적으로 작용할 때로,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입니다.
가임 여성의 경우에서는 무배란과 관련이 있습니다. 무배란주기의 경우 황체가 형성되지 않아서 황체호르몬의 길항작용 없이 난포호르몬의 지속적인 자극이 일어납니다.
폐경 후 여성에서도 난포호르몬이 지속적으로 자극할 경우가 생기는데, 이때 난포호르몬은 난소가 아니라 말초조직 특히 지방조직에서 생깁니다. 실제로 비만 여성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더 흔히 발생합니다.
그 외에도 여성 호르몬 치료 중 에스트로겐 (난포호르몬)만 복용하는 경우, 에스트로겐을 생성하는 종양(혹)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http://www.ksog.org/image/sub7/4_8_03.gif) |
비정상적인 질 출혈이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
![](http://www.ksog.org/image/sub7/4_8_04.gif) |
초음파 검사로 자궁내막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폐경기 여성에서 정상적인 자궁내막의 두께는 호르몬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 5~6 mm 이하이고, 호르몬 치료를 하더라도 보통 8 mm 이상 되지는 않습니다.
질 출혈과 초음파 검사 등으로 자궁내막 증식증이 의심될 경우 자궁내막 조직검사를 해야 합니다. 조직검사로 진단을 할 수 있고 비정상적인 세포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직을 얻는 방법은 내막 흡인술, 소파수술 등이 있습니다.
|
![](http://www.ksog.org/image/sub7/4_8_05.gif) |
소파수술 후 진단이 되면 먼저 저용량의 프로게스테론 호르몬 치료를 3~6개월 시행합니다. 이후 조직검사를 반복하여 내막 증식증이 여전히 있으면 고용량의 프로게스테론 호르몬 치료를 시행하거나 자궁 적출술을 고려합니다.
그러나 나이가 많고, 비정상적인 세포가 많은 경우 곧바로 자궁적출술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