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서울대 디자인학부에 합격한 변지민(20·서울 숙명여고 졸)양의 이력은 독특하다. 모두 입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고3 시절, 그녀는 블로그와 UCC등의 콘텐츠 제작에 빠져 살았다. UCC공모전에서 받은 상만 해도 40여 개, 블로그에 쓴 내용을 책 ‘고3 생존비기’로 펴내기도 했다. 그 덕에 서울대 입시에서‘특기자 전형’에 합격할 수 있었다.
■ 일기 쓰는 마음으로 7년간 블로그 운영
■ 일기 쓰는 마음으로 7년간 블로그 운영
고등학생이 되면서부터는 자연스레 입시 이야기를 담게 됐다. 모의고사를 본 뒤의 소감이나 오답노트 정리법을 쓰기도 하고, 고교 생활이나 사회적 이슈에 대한 생각을 적기도 했다. 미술에 관심이 많아 일주일에 한번씩 박물관이나 미술관을 찾았던 이야기, 주말 미술교실에서 테라코타 등을 배운 소감도 담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글 솜씨도 부쩍 늘었다.
“일기 성격의 글이었지만 남에게 보이는 글이라는 생각에 신중하게 썼어요. 블로그에 올리기 전 몇 번씩 다시 읽으면서 좀더 좋은 글로 표현 하려고 노력했죠. 그러면서 제 생각을 좀더 다양하게 전개할 수 있게 됐고, 깊고 복잡한 내용도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는 방법도 알게 됐어요. 이런 경험이 앞으로 전문적인 디자인을 할 때‘보는 사람’을 염두에 두고 제 생각을 펼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해요.”
변양의 작품 가운에 가장 큰 반응을 얻었던 것은‘프린세스 메이커’라는 게임을 패러디한‘고3 메이커’.‘ 프린세스 메이커’가 게임 속인물을 잘 키워 공주로 만든다면, ‘고3 메이커’는 주인공을 잘 뒷바라지해 명문대에 보내면 된다는 설정이다. 변양은 이 작품에서“과연 명문대만 가면 행복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져 많은 학생들의 공감을 얻었다.
“프린세스 메이커는 공주로 만들면‘행복하게 잘 살았다’는 내용으로 끝나요. 그런데 고3도 명문대만 가면 행복할까요? 졸업을 하고도 제 갈 길을 찾지 못해 방황하거나, 고시원에서 끝나지 않는 공부를 계속하는 경우가 많잖아요. 남부럽지 않은 직장에 다니지만 불행한 사람들도
있고요. 고교 시절을 겪으면서 생긴 제 생각을 담았죠.‘ 엄마가 공부만 잘하면 된다고 했는데…’라는 말로 작품이 끝나요.”
■ UCC공모전 참가, 벽화 그리기 봉사 등 특별한 활동
변양의 고교 학생부에는 수상기록이 40여 개나 있다. 여러 UCC공모전에 참가해 수상한 내용이다.“ 상품으로 문화상품권을 많이 받은 덕분에 부모님께 문제집 값을 받지 않아도 됐을 정도”라고 했다. 간단한 애니메이션, 사진으로 만든 카툰, 만화 등 다양한 형태로 콘텐츠를 제작해 응모했다. 대단한 컴퓨터 기술은 없었지만, 자신이 가진 장점을 최대한 살리고 틈새를 노린 아이디어로 승부했다.‘ 파워포인트’프로그램으로 간단한 게임을 만들어 출품해 대상을 받은 적도 있다.
공부도 소홀하지 않았다. 변양은 시간활용을 철저히 했다. 학교 수업 시간과 자습시간에 집중하고, 집에 와서는 블로그 운영과 UCC 작품 제작에 매달렸다. 학교 시험 2주 전부터는 블로그 운영을 중단하고 시험 공부에만 매진했다. 덕분에 전교 상위 15% 정도의 내신성적을 유지할 수 있었다. 변양의 부모도 이런 활동을 말리지 않았다.“ 고3이기 전에 18세 소녀인 딸이 하고 싶은 일을 한다는데 어떻게 말리겠느냐고 하셨다”고 했다.
봉사활동 역시 특별했다. 대입을 위한‘구색 맞추기’식 봉사활동은 하기 싫었단다.‘ 내가 가진 재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를 먼저 고민했다. 그리고‘벽화 그리기’활동을 택했다. 산동네, 재활원 등을 찾아 다니며 황량한 벽에 예쁜 그림를 그려 넣었다. 한여름 땡볕 아래 하루 종일 서서 값진 땀방울을 흘렸다. 변양은 “힘든 고3 생활에서도 자신의 꿈만은 잃지 마라”고 조언했다.
“저는 어찌 보면 방정맞은 고교 생활을 했어요.‘ 꿈’만 가지고 제가 하고 싶은 일에 충실했죠. 하지만 결국 그게 제 길을 찾는 과정이 됐어요. 저는 모든 학생들이 무엇이든 자신이 원하는 일을 충분히 해낼 수 있고, 또 그만한 능력을 가졌다고 믿어요. 모든 고3들이‘공부’에 매몰되기 전에 자기가 원하는 것을 꿈꾸길 바라요.”
'기타2 >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명과 호흡, 심장 박동의 관계 (0) | 2009.02.27 |
---|---|
변비女의 장은 “발암 물질 창고” (0) | 2009.02.26 |
‘스폰지’ 예술·독립영화 실험 물올랐다 (0) | 2009.02.11 |
영화는영화다ㆍ테이큰 대박에도 빈손 (0) | 2009.02.11 |
외화 수입에 관한 잡담 하나 (0) | 2009.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