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관념적 기독교 맹점 예리하게 포착한 영화 | ||||||||||||
기존 기독교 죄론과 구원론 허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 ||||||||||||
| ||||||||||||
“사람 죽여 놓고 미안하다면 다인가”, “도대체 누가 누구를 용서한다는 것인가?” (영화 <밀양> 극중의 대사) 우리의 죄는 어떻게 용서 받을 수 있는가? 우리의 삶은 어떻게 고통에서 치유 받을 수 있는가? 이창동 감독의 영화 <밀양>은 이 코드를 기독교라는 종교를 통해 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영화다. 주인공 신애(전도연)는 계속적으로 배반의 세월을 살아온 아픔의 여인으로 나온다. 배반의 세월을 살아왔기에 가슴에는 억눌린 한을 품고 살아가는 여자였다. 죽은 남편의 배신이 있었지만 그래도 끝까지 남편을 이해하고자 했고, 결국 죽은 남편의 고향이자 아무도 자기를 알아보지 못한다는 밀양으로 어린 아들과 함께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자 내려온다. 신애는 아무도 자신을 모르는 이 낯선 땅에서 어린 아들과 사는 자신의 나약함을 오히려 방어하고자 돈 있는 허세를 부리다가 그만 자신의 어린 아들이 유괴당하는 뜻밖의 수렁으로 빠지게 된다. 결국 어린 아들은 죽고 신애는 자신에게 있는 슬픔과 응어리진 한을 해결하지 못한 채 기독교라는 종교에 귀의한다. 그리고 일시적으로는 그 아픔들을 해결한다. 하지만 여기서 더 큰 사건이 일어나게 된다. 신애는 믿었던 그 신으로부터도 배반을 당한 것이다. 교회 생활로 인해 한동안 마음의 평안을 찾은 것처럼 나왔지만, 이미 신으로부터 용서를 받았다고 나오는 그 살인범 죄수 앞에서 정작 피해당사자인 신애 자신은 그 관계에서 애초부터 빠져 있음을 알고 치를 떠는 배신감을 느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여기서 기존 기독교의 죄와 ‘죄 사함’이라는 용서의 코드를 살펴보면, 그것은 철저히 신과 개인이라는 ‘1대1 관계’에서 빚어지는 것들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를테면, 내 죄를 신께 자백하면 신은 내가 어떤 죄를 지었든 간에 한없는 용서를 해준다는 것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더 깊이 한번 생각해보라. 누군가가 죄를 지었다는 것은 그 죄로 인해 고통을 받는 타자도 같이 발생한다는 사실도 우리는 알 수 있어야 한다. 즉, 죄(Sin)가 있는 곳에는 필연적으로 한(恨)도 같이 있다. 인간은 관계망에 놓여 있다. 이러한 관계적 사태에서 죄와 한은 동전의 양면인 것이다. 그렇다면 진정한 죄 사함은 신과 개인의 1대1 관계가 아니라 신과 죄인과 그 죄로 인해 고통 받은 이웃이라는 ‘3자적 관계’에서 고찰되어야 진정으로 그 죄와 죄 사함이라는 용서와 치유가 이뤄진다. 물론 신과 개인의 1대1 관계에서 죄 사함을 얻을 수는 있다. 하지만 만일 그것만으로 그친다면 그것은 관념적일 뿐이고, 실상은 아편적인 것이 될 뿐이다. 많은 기독교인들은 죄 짓고도 그저 기도로 고백만 하면 스스로는 하나님으로부터 나는 죄 사함을 받았다고 심리적으로 여긴다. 더군다나 신애 자신이 평안함을 찾았다는 교인이면서도 무심코 살인자의 딸이 거리에서 맞고 있는 장면을 보고도 이를 외면하고 지나가는 모습에서 우리는 기존 기독교가 주는 ‘평안’이라는 게 얼마나 얄팍한 허위임을 예리하게 간파할 수 있다. 구원의 신비는 이 땅에서부터 결국 자신의 아픔을 해결했다고 생각했던 신애는 오히려 자신이 신의 관계로부터 배제되어 있고 버림받았다는 사실을 알고선 격분한다. 이제는 그 같은 허위들을 신에 대한, 기독교에 대한 증오와 반감으로서 표현하게 된다. 하지만 그러한 선택은 결국 신애 자신마저도 병들게 하고 갉아먹는 행위였을 뿐이다. 사실 신애가 진정으로 치유받기 위해선 결국 살인자의 딸과도 화해해야 했지만, 그녀는 끝까지 이를 거부한다. 치유되지 못한 한(恨)은 결국 정신 병리마저 낳는다. 가슴에 꺼이꺼이 박혀 있는 멍울진 슬픔과 한을 어디로부터 치유 받을 길이 없었다. 신애는 신과의 관계에서도 고통 받고 있던 자신이 이미 배제되어 있음을 알고서 타인과는 끝내 화해하지 못한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 유일하게 치유자의 역할로서, 영화 제목 <밀양>이 품고 있는 뜻인 ‘비밀의 햇볕’(Secret Sunshine)임을 쉽게 간파할 수 있는 배역이 바로 늘 그림자처럼 신애 옆에 함께 있어준 종찬(송강호)다. 종찬의 치유행위란 ‘언제나 곁에 있어줌’ 바로 그것이다. 신애가 아픈 병실에 있을 때 모든 타인들을 거부했지만 그래도 종찬 만큼은 끝내 거부하진 않았다. 종찬을 통해 아픔이 치유될 수 있는 유일한 구원의 희망을 보게 된다. 여전히 신애는 살인자의 딸과도 화해하지 못한, 치유되지 못한 아픔을 간직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영화는 비극적 결말이다. 하지만 그러한 그녀가 이제 다시 거울을 본다는 것은 여전히 지속되는 비극 속에 새로운 희망의 암시를 준다. 여기서 종찬은 그녀에게 거울을 들어주고 있다. 구원자의 역할이란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신애는 종찬에게 밀양이고 종찬은 신애에게 밀양이다. 마찬가지로 신은 인간에게 밀양이고, 인간 역시 신에게 밀양이다. 신은 그토록 인간을 사랑하기에 이 땅에 죽기까지 내려오신 분이 아니셨던가. 영화의 첫 장면은 하늘로 시작해서 마지막 장면에는 질퍽한 개숫물을 보여주며 끝이 난다. 관념에서 현실로, 위에서 아래로, 신에서 인간으로 내려온 것이다. 질퍽한 개숫물은 분명한 고통의 현실을 외면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며, 그것은 라스트신에서 신애가 들여다보고 있는 바로 그 거울 속의 내용이다. 현재의 자신이 겪고 있는 질퍽한 고통을 올바로 직시한다는 것. 그것은 진정한 치유와 구원의 출발이다. 이 땅을 밟고 살아가는 모든 인간들은 우리 안의 모든 고통과 아픔의 현장들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인간의 죄로 인해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의 온전한 치유는 신과 나의 1대1 관계만이 아닌 신과 나와 고통 받는 이웃이라는 3자적 관계에서 언제나 고찰되어야 한다. 분명히 알자. 애초부터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제시하는 온전한 죄 사함과 구원의 치유란, 결코 관념적이거나 비역사적이거나 아편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은 언제나 현실적인 것이며, 온전한 치유를 지향하며, 이웃과 함께 사는 삶을 가리키고 있다. 건강한 치유의 삶 위한 영화 <밀양>이라는 텍스트 영화 <밀양>은 하나님만 사랑하고 고통 받는 이웃(세상)을 사랑하지 않는 종교 신앙의 맹점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쉽게 말해서 하나님만 사랑하고 이웃은 사랑하지 않는 신앙이 아편적 신앙이다. 사실상 그것은 하나님마저도 제대로 사랑하지 않는 것이다. 물론 아편을 맞고도 치유를 경험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은 일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런 식의 아편적 치유는 기독교 외의 다른 데서도 엿볼 수 있는 현상들이다. 그렇기에 이 영화를 일컬어 "기독교에 대한 영화냐?"고 묻는다면, 나는 꼭 "그렇진 않다!"고 얘기하고 싶다. 왜냐하면 죄와 고통의 문제는 보편적이기 때문이며, 온전한 치유와 구원의 문제 역시 사람 사는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보편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사람 사는 곳에는 언제나 고통이 있고 구원의 문제가 있다. 영화 <밀양>은 그 지점에 단지 기독교를 백그라운드로 해서 보여주고 있을 따름이다. 그리고 이 영화에서 신애를 연기한 전도연의 연기는 정말 최고의 연기라는 표현도 무색하리만큼 거의 완벽에 가까운 연기를 보여주고 있다. 아마도 이 영화를 본 누구라도 그렇게 느꼈을 것이리라. 또한 야외 예배에서 목사님의 기도 중에 “거짓말이야, 거짓말이야, 거짓말이야”라는 노래 시디를 트는 장면도 기존 기독교의 허위를 직설적으로 고발한 카타르시스를 크게 느낄 명장면이었다. 내 생각엔 아마도 안티기독교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장면으로서도 꼽을 것 같다. 개인적으로 내가 본 최고의 한국영화는 이창동 감독의 불후의 걸작 <박하사탕>인데, <박하사탕>만큼의 흡인력은 아니지만(왜냐하면 기존 기독교의 코드를 잘 모르거나 별 관심 없는 사람이라면 지루했을 법 하기에) 그래도 올해의 수작으로 꼽아도 손색이 없음은 너무나도 분명한 사실이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기존의 주류 보수 기독교가 아닌 ‘새롭고 건강한 기독교’ 혹은 그러한 종교나 삶을 지향하는 모든 사람들에게는 영화 <밀양>이라는 수작이 더없이 반가울 것 같다. 정말이지 이창동 감독과 열연한 배우들 그리고 스텝들 모두에게 진심으로 존경과 경의를 표하는 바이다. 영화 <밀양>은 하나님(절대자)과의 관계만 강조하는 그러한 관념적 종교 신앙(혹은 이런 유형의 모든 아편적 치유들)의 맹점을 지적하며, 진정한 하늘의 신과의 관계는 질퍽한 고통이 난무하는 땅의 현실을 붙박이로 사는 우리네 이웃과의 관계마저도 함께 내포해야 한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그것이야말로 하나님께서 땅을 딛고 있는 우리에게 주시는 온전한 치유가 가능한 자리이기 때문이다. | ||||||||||||
|
'GG뉴스 > 문화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칸 영화제 수상작 '밀양'은 어떤 영화 (0) | 2008.09.22 |
---|---|
[영화평론] 보이지 않는 태양, 당신은 누구시기에 (0) | 2008.09.22 |
하늘에서 땅으로 임하는 구원, <밀양> (0) | 2008.09.22 |
이슬람교 - 기만과 테러의 종교 (0) | 2008.09.20 |
역사의 왜곡 - 이슬람이 관용과 평화의 종교인가? (0) | 2008.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