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서사비평을 주석에 사용하는 방법
서사비평은 복음서를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촛점을 맞춘다.하지만 실제적인 측면에서는,교회의 교육과 선포사역에 도움을 주 는 주석작업이 단일 본문이나 문단의 의미를 밝혀내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이러한 '에피소드들'은 여기에 제시하는 질문들을 통 해서,서사비평의 시각에서 해석되어질 수 있다.물론 모든 질문들이 모든 본문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사건
1.이 에피소드에서 어떤 사건이 드러나보이는가? 이 구절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 2.이 사건을 이야기 속의 다른 사건들과 비교할 때 어떤 점이 중요한가? 이것은 이야기 속에서 주된 전환점의 역할을 하는가 아 니면 이미 일어난 일을 논리적으로 이어서 수행하는가? 36,44-45쪽을 보라. 3.그 사건이 서사이야기시간(narrative time)에서는 어떻게 보고되는가? 연속적인 순서에서 일탈되어 있는가? 묘사가 눈에 띄게 제한되어 있는가 아니면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는가?한 사건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가?이 사건에 대해서 이야기의 다른 곳에서 언급하고 있는가? 36-39,45쪽을 보라. 4.이 사건이 서사이야기의 다른 사건들과는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가?그 사건이 이미 일어난 어떤 것에 의해서 필연적으로 일어 난 것인가?이 사건이 다른 사건들을 필연적으로 발생시키는가? 40-42,45-46쪽을 보라. 5.여기에서 식별가능한 갈등의 요인들은 무엇인가? 이 본문에서 갈등의 성격과 심도는 그 이야기의 다른 곳에서 발견되어지는 것과 비교해서 어떤가? 여기서 발견되어지는 갈등이 궁극적으로 어떻게 해소되는가? 이 사건이 이 갈등을 전개시키고 궁극적으로 해소시키는 데 어떤 방식으로 기여하는가? 42-44,46-48쪽을 보라. 6.이 사건이 전체 이야기에서 하는 어떤 역할을 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는가?그 사건이 전체 플롯에 어떤 기여를 하는가?
등장인물
1.이 에피소드에서 등장인물들은 누구이며,그들은 서사이야기 어디에서 등장하는가? 이 등장인물들 가운데 이야기에서 단일 역 할을 수행하는 집단적인 등장인물이 있는가? 51,58쪽을 보라. 2.이 구절에서 등장인물들이 독자에게 어떻게 자기 모습을 드러내는가?해설자는 우리에게 그들에 대해서 말하는가?우리는 그들 의 행동,말,생각,또는 신념들에 대한 보고들을 통해서,그들에 대해서 알 수 있는가?우리는 그들과 관련되어 있는 다른 등장인물 들의 행동,말,생각,또는 신념에 대한 보고를 통해서,그들에 대해서 알 수 있는가?이것은 우리가 이야기의 다른 곳에서 이 등장인 물에서 알게 되는 것과 일치하는가? 52-53,58-59쪽을 보라. 3.이 에피소드에서 각각의 등장인물들은 어떤 평가관점을 갖고 있는가?그들은 진리를 지향하는가 아니면 거짓을 지향하는가? 이 것은 서사 이야기 다른 곳에서 언급되는 인물묘사와 일치하는가? 53-54,60-61쪽을 보라. 4.이 에피소드에서 각각의 등장인물에게 부여된 성격은 무엇인가? 이 성격들은 본질적인 성격에서 비롯된 것인가,아니면 그것들 은 다른 성격들을 이끌어내는 본질적인 성격인가? 여기서 알 수 있는 성격들은 서사이야기의 다른 곳에서 이 등장인물들에게 부 여되는 성격과 일치하는가?서사이야기에서 그 등장인물들은 원형,평면형,또는 일시적 유형 가운데 어느 유형으로 묘사되고 있는 가? 54-55,61-64쪽을 보라. 5.독자는 이 등장인물들과 이상적으로 감정이입을 하는가,아니면 현실적으로 감정이입을 하는가?해설자나 주인공이 등장인물들 에게 보여주는 태도를 명확하게 밝힐 수 있는가?독자는 등장인물들과 공감하는가,아니면 그들에 대해서 반감을 느끼는가? 56-58, 64-65쪽을 보라.
배경
1.이 에피소드의 공간적,시간적,그리고 사회적 배경은 무엇이며,그것들은 이야기의 분위기 형성에 어떻게 기여를 하는가?이 배 경들은 서사이야기 다른 곳에서도 발견되어지는가,아니면 이 특정한 구절에서만 유일하게 나타나는가? 2.공간적인 배경과 관련해서,이 에피소드의 등장인물의 물리적인 환경이 그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그 물리적인 환경은 어떤 감각적인 자료를 통해서 묘사되며,이 묘사유형은 서사이야기에 전형적인 것인가?물리적인 특징들 가운데 어느 것이 여기서 혹은 이야기의 다른 곳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가?이 배경들 가운데 어느 것에서 적절한 대조(예를 들면,'안'과 '밖'의 대조)가 식별되어지는가? 배경이 이러한 대조들의 사이의 경계역할을 하는가? 70-72,75-78쪽을 보라. 3.시간적인 배경과 관련해서,이 에피소드에서는 어떤 유형의 연대기적이고 유형론적인 언급들이 사용되었는가?이 에피소드를 이 끌어가는 '시간의 유형'(예를 들면,낮이나 밤,겨울이나 여름)은 이 이야기에서는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가?마지막으로,여기서 일 어난 일이 이야기의 일반적인 시간개념(다시 말하면,'기념적 시간'이나 구원사)에 비추어서 어떻게 해석되어지는가? 72-74,78-82 쪽을 보라. 4.사회적인 배경과 관련해서,이 에피소드를 이끌어가는 문화적인 상황은 무엇인가?정치적인 제도,계급구조,경제체제,사회관습 등에 대해서 독자들은 어떤 지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가?이 정보들은 이 특정한 에피소드를 전체 이야기의 문맥에 서 해석할 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74-75,82-83쪽을 보라.
전체적인 해석
1.이 에피소드를 보고하는 데 어떤 수사적인 기법들이 사용되었는가?의도적인 상징이나 아이로니가 발견되어지는가? 이 구절들 과 바로 이어지는 문맥을 구성하는 데 어떤 서사적인 기법들이 사용되었는가?23-34쪽을 보라. 2.전체 이야기의 문맥에서 살펴볼 때,이 에피소드는 내재된 저자에 대해서 무엇을 알려주는가? 이 이야기가 들려지는 방식을 통 제하는 것으로 보이는 가치나 생각,우선순위,또는 선택의 성향 등은 무엇인가? 5-6쪽을 보라. 3.서사이야기는 이 에피소드가 그 독자들에게 어떤 효과를 미칠 것으로 설정하고 있는가?서사이야기의 담론의 어떤 요소들이 이 효과를 일으키는 데 기여를 하는가?
각주
제1장 이야기 성서
1.이점에 관해서는 다음을 보라:Mark Allan Powell,'The Bible and Modern Literary Criticism,' in Betty A. O'Brien, Summary of Proceedings: Forty-third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Libraries Association (St.Meinrad,Ind.: ATLA,1990),78-94. 2.다음을 보라:Edgar McKnight,The Bible and the Reader:An Introduction to Literary Criticism (Philadelphia: Fortress Pre ss, 1985); Norman R.Petersen,' Literary Criticism in Biblical Studies,'in Richard Spencer, Orientation by Disorientation .Studies in Literary Criticism and Biblical Literary Criticism Presented in Honor of William A. Beardslee,PTMS 35 ( Pitt sburgh:Pickwick Press, 1955), 25-50. 3.Edgar Krentz,The Historical- Critical Method, GBS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75)를 보라. 4.Hans W.Frei,The Eclipse of Biblical Narrative:A Study in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y Hermeneutics ( New Haven,C onn.:Yale University Press,1974)를 보라. 5.William A. Beardslee,Literary Criticism of the New Testament, GBS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69). 6.Funk,Lnaguage,Hermeneutic,and the Word of God (New York;Harper & Row, 1966);Via,The Parables:Their Literary and E xistential Dimension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67);Crossan, In Parables( New York: Harper & Row, 1973). 7.Norman Perrin,'The Evangelist As Author:Reflections on Method in the Study and Interpretaion of the Synoptic Gospels and Acts,' BiblRes 17 (1972):5-18,특히 9-10. 8.Norman R. Petersen,Literary Criticism for New Testament Critics, GBS (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78),20. 9.Beardslee,Literary Criticism,3. 10.Rene Welleck and Austin Warren,Theory of Literature,3d ed. ( San Diego:Hartcourt, Brace, Jovanovich,1975),20-28. 11.Erich Auerbach,Mimesis:The Representation of Reality in Western Literature, trans. W.Trask (Garden City, N.Y.:Double day and Co., 1957; 독일어판). 12.Meyer Howard Abrams,A Glossary of Literary Terms, 4th ed.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1981),117-19를 보라 . 13.S.Bermann,'Revolution in Literary Criticism,' PAW (Nov.21,1984);10. Tremper Longman,Literary Approaches to Biblical Interpretation (Grand Rapids,Mich.:Zondervan,1987),19. 14.Abrams,Glossary,83. 15.히르쉬(E.D.Hirsh)도 저자들은 그들이 의미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 이상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인정한다.Validity in Interpr etation ( New Haven, Conn.: Yale University Press, 1967),48,51,61을 보고,The Aims of Interpretation ( Chicago: Universit y of Chicago Press, 1976),74-92의 보다 자세한 견해를 보라. 16.다음을 보라: Wayne Booth,The Rhetoric of Fiction,2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1983),66-77;Seymour Ch atman, Story and Discourse :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1978), 147- 51;그리고 부스(Booth)의 책 478-80,511-12의 참고문헌에 수록된 용어들을 보라. 17.누가복음과 사도행전도 동일한 저자가 기록한 두 권의 독립된 책이라기 보다는,단일작품의 두 부분으로 읽혀지고 있다. 18.서사이야기는 그것이 '위원회에 의해서 구성되어졌거나(홀리우드 영화),아니면 오랜 기간 동안 특정한 사람들에 의해서 구성 되어졌다고 해도(많은 민속 서정시들)' 한명의 내재된 저자를 갖는다.(Chatman,Story and Discourse,140). 19.다음이 예외에 속한다:Northrup Frye,The Great Code:The Bible and Literature (New York: Hartcourt, Brace, Jovanovich, 1982); Frank Kermode, The Genesis of Secrecy:On The Interpretation of Narrative (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 979). 20.David Rhoads and Donald Michie,Mark As Story:An Introduction to the Narrative of a Gospel ( Philadelphia: Fortress P ress,1982). 21.이 책 이전에 되어진 가장 종합적인 연구는 Thomas E. Boomershine의 미간행 학위논문이었다: 'Mark the Storyteller: A Rhe torical -Critical Investigation of Mark's Passion and Ressurection Narrative' (Union Theological Seminary, New York, 197 4). Werner Kelber의 Mark's Story of Jesus (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79)도 역시 통찰력이 있는 책이지만,전승사적인 측면에 지나치게 영향을 받았다. 22.Jack Dean Kingsbury,The Christology of Mark's Gospel ( Philadelphia : Fortress Press,1983). 23.R.Allan Culpepper, Anatomy of the Fourth Gospel:A Study in Literary Design ( Phialdelphia: Fortress Press,1983). 24.Rhoads,'Narrative Criticism and the Gospel of Mark,' JAAR 50 (1982): 411-34.이 논문은 원래 1980년에 개최된 제10회(이 면서 마지막인) SBL 마가복음 세미나에서 발표되었다.서사비평의 발전을 유도한 많은 작업들이 이 세미나에서 되어졌으며,초대 회장은 노만 페린(Norman Perrin)이었고,그 다음에는 켈버(Werner Kelber)가 맡았다.로드스는,토마스 부머샤인(Thomas Boomershi ne),조안나 듀이(Joanna Dewey),로버트 파울러(Robert Fowler),노만 페터슨(Norman Petersen),로버트 탄네힐(Robert Tannehill), 그리고 메어리 앤 톨버트(Mary Ann Tollbert)가 새로운 학문의 발전에 특별히 영향을 미친 세미나의 회원들이었다고 기록하고 있 다. 25.Jack Dean Kingsbury,Matthew As Story (Philadelphia : Fortress Press, 1986); Robert Tannehill, The Narrative Unity of Luke-Acts:A Literary Interpretation,2 vols. ( Philadelphia and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86,1990). 26.다섯번째 학자인 노만 페터슨도 역시 언급되어야만 한다.그의 논문 'Point of View in Mark's Narrative,' Semeia 12 (1978) :97-121과 'Story Time and Plotted Time in Mark's Gospel'(Literary Criticism for New Testament Critics의 3장)은 지대한 영 향을 미쳤다.그가 서사적인 책을 온전히 연구하지는 않았다 할지라도,페터슨은 이 운동의 선구 이론자로서 여러가지 방면에서 많 은 기여를 했다. 27.이 책의 여기저기에서,나는 성경연구의 최근 발전들에서 특별히 중요하게 여겨져온 문학비평의 다양성들에 촛점을 맞추고 있 다.스티픈 무어는 '학자들은 일반문학비평이 텍스트의 통일성탐구와 이야기 세계의 분석만을 하는 학문이라는 인상을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데',이러한 생각은 사실 '이것들(텍스트의 통일성,이야기세계의 분석 등-역자주)이 최근 몇년 동안에 가장 많이 다루 어진 개념들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핵심에서 벗어난 것이다'라고 말했는데,이 말은 옳다(Moore,Literary Criticism and the Gos pels:The Theoretical Challenge (New Haven, Conn.: Yale University Press,1989),11. 문학이론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하기에는 이 책으로는 불가능하다. 28.이것은 '정경비평'(canonical criticism)이라고도 불리워지고 있는데,정경비평은 전형적인 역사적인 관심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사비평과 다르다.Brevard S. Childs,The New Testament As Canon: An Introduction ( Philadelpia: Fortress Press, 1 988); James A. Sanders, Canon and Community: A Guide to Canonical Criticism, GBS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84). 29.'구성비평'(composition criticism)은 편집비평의 한 부류인데,전승의 단위들이 전체 작품에서 어떻게 배치되고 배열되었는 지를 살핀다.하지만 이야기의 통일성 보다는 신학적인 관점의 통일성에 더 관심을 기울인다.Moore,Literary Criticism, 4-7을 보 라. 30.Murrary Krieger, A Window to Criticism: Shakespeare's Sonnets and Modern Poetics (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 ress, 1964),3. 31.John Austin의 How To Do Things With Words,2d ed.,(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1975)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다 음을 보라: Abrams, Glossary, 181-83;Chatman, Story and Discourse,161-66; Hugh C.White,ed. Speech Act Theory and Biblical Criticism,Semeia 41 (1988). 32.Petersen,Literary Criticism for New Testament Critics,11-20. 33.ibid.,24-48.Paul Hernadi,'Literary Theory: A Compass for Critics,' CritInq 3 (1976):369-86.
제2장 독서방법들 1.Abrams,Glossary를 보라. 2.Abrams,The Mirror and the Lamp:Romantic Theory and the Critical Tradition ( New York:W.W.Norton,1958),8-29. 3.이 운동들에 대한 비교분석을 위해서는 Mark Allan Powell의 'Types of Readers and Their Relevance for Biblical Hermeneut ics,' TSR 12 (1990)을 보라. 4.Daniel Patte,Structural Exegesis for New Testament Critics,GBS (Minneapolis: Fortress Press,1989). 5.Propp,Morphology of the Folktale,trans. L.Scott, 2d ed. ( Austin: University of Texas,1968;러시아판 1928). 6.Patte,The Gospel According to Matthew:A Structural Commentary on Matthew's Faith (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87 ). 7.다음을 보라: George Kennedy,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Through Rhetorical Criticism ( Chapel Hill: University of N orth Carolina Press,1984); Burton Mack, Rhetoric and the New Testament, GBS ( Minneapolis: Fortress Press,1989). 8.Art of Poetry. 9.Orator 69. 10.The 'Art' of Rhetoric,3.1.1358a.The Poetics도 보라. 11.Lloyd Bitzer,'The Rhetorical Situation,' PhilRhet 1 (1968):1-14, 특히 5-6. 12.하지만 수사비평은 이 장 여기저기에서 묘사하고 있는 독자-반응 비평과는 다르다.수사비평이 텍스트를 그 원래 의도된 독자 들의 관점에서 이해하려고 하는 반면,독자-반응방법은 텍스트가 현대 독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려고 한다. 13.마가복음을 수사학적인 관점에서 전체 문학단위로 연구하려는 두 번의 시도가 있었다.Burton Mack,A Myth of Innocence: Mar k and Christian Origins (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88)과 Vernon K. Robbins,Jesus the Teacher. A Socio-rhetorical I nterpretation of Mark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84)를 보라. 14.Betz,Galatians: A Commentary on Paul's Letter to the Churches in Galatia,Hermeneia ( Phialdelphia: Fortress Press,19 84). 15.Kennedy,New Testament Interpretation,39-45,97-113. 16.다음을 보라:Robert Detweiler,ed., Reader-Response Approaches to Biblical and Secular Texts.Semeia 31 (1985); Robert M. Fowler, Let the Reader Understand:Reader- Response Criticism and the Gospel of Mark (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89); McKnight, Bible and the Reader, 75-134; Post -Modern Use of the Bible: The Emergence of Reader-Oriented C riticism (Nashville: Abingdon Press,1988); James Resseguie, ' Reader-Response and the Synoptic Gospels,' JAAR (1982): 41 1-34. 17.Robert Scholes and Robert Kellogg,The Nature of Narrativ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1966),4. 18.그 조직은 Resseguie,'Reader-Response and the Synoptic Gospels'와 Susan Suleimann,'Varieties of Audience-Oriented Cri ticism,' in S. Suleimann and I. Crossan, The Reader in the Text: Essays on Audience and Interpretation ( Princeton: Prin ceton University Press,1980),3-21에 힘입은 바 크다.레스귀는 본서에 로마숫자로 표기해 놓은 3대 유형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언급한다.슐레이만은 독자-반응비평을 여섯가지 유형,즉 수사비평,구조비평,현상학,심리분석,사회학,그리고 해석학적인 것으로 분류한다. 19.cf.John Dominic Crossan,ed., Derrida and Biblical Studies, Semeia 23 (1982). 20.Longman,Literary Approaches,41. 21.Holland,The Dynamics of Literary Response ( New York: W.W. Norton, 1968);Five Readers Reading (New Haven, Conn.: Yal e University Press, 1975); 'A Transactive Account of Transactive Criticism,' Poetics 7 (1978): 177-89.심리분석적인 개념 을 차용하는 다른 문학이론들은 David Bleich와 Harold Bloom에 의해서 발전되어 왔다.Bleich,Subjective Criticism ( Baltimor e: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1978)과 Bloom,Kabbalah and Criticism ( New York: Continuum,1983)을 보라. 22.Fish,Is There a Text in This Class? The Authority of Interpretive Commnunities (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피쉬가 구조주의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기는 해도,나는 그의 견해를 '텍스트보다 독자를 우선하는' 유형으로 규정하는데, 그것은 피쉬가 해석공동체를 비평적인 동의보다 앞선 것으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23.Fish, 'Literature in the Reader: Affective Sylistics,' in Self-Consuming Artifacts,(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 rsity of Carolina Press,1972),383-427.피쉬는 후에,감성문체론이 해석공동체가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전략이며,그것 은 독자를 텍스트보다 우선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선택에서 제 기능을 발휘한다고 결론지었다. 24.Wolfgang Iser의 The Act of Reading: A Theory of Aesthetic Response ( Baltimore :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197 8)와 The Implied Reader: Patterns of Communication in Prose Fiction from Bunyan to Beckett ( Baltimore: Johns Hopkins Un iversity Press,1974)를 보라. 25.cf.Jack D. Kingsbury,' Reflections on 'the Reader' of Matthew's Gospel,' NTS 34 (1988):442-60;Robert M. Fowler,'Who is 'the Reader' in Reader-Response Criticism?' Semeia 31 (1985):5-23. 26.Chatman,Story and Discourse,149-50. 27.Kingsbury,Matthew as Story,38. 28.이러한 독서방식은 코울리지(Coleridge)가 말한 '불신의 의도적인 연장'(a willful suspension of disbelief)을 요구한다.이 와 비슷하게,폴 리꾀르(Paul Ricoeur)는 '두번째 순수함의 채용'(the adoption of a second naivete)에 대해서 말한다. The Symb olism of Evil, trans. E. Buchanan ( New York:Harper & Row, 1967), 351을 보라. 29.킹스베리의 Matthew As Story를 리차드 에드워즈(Richard Edwards)의 Matthew's Story of Jesus ( Phialdelphia: Fortress Press,1985)와 비교해 보라.중요한 차이점은 에드워즈가 첫번 독자를 생각한다는 것이다. 30.부스의 Rhetoric of Fiction 제2판의 후기,특히 421-31을 보라.그리고 Diacritics 10 (1980):57-74에 실린, 부스와 노만 홀 랜드가 이저와 한 인터뷰내용을 보라.
제3장 이야기와 담화 1.노만 페터슨은 바울서신이 편지 배후에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면,문학적인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Rediscoveri ng Paul: Philemon and the Scociology of Paul's Narrative World (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85)를 보라. 2.Chatman,Story and Discourse,15-42. 3.ibid.,3. 4.Jack D. Kingsbury,' The Figure of Jesus in Matthew's Story: A Literary -Critical Probe,' JSNT 21 (1984):3-36,특히 4-7 .cf.Matthew As Story,34,n.118. 5.이것은 사탄의 관점이 항상 부정확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예를 들어,귀신들은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정확히 알 고 있었지만 (마가복음 1:24; 3:11; 5:7),그들은 그들의 지식대로 행하지 못했으며, 하나님의 아들인 예수에 대한 그들의 태도 역시 그릇되었다.평가관점의 문제는 단순히 정확성보다도 더 넓은 진리의 언급을 가정한다. 6.cf.Petersen,'Point of View in Mark's Narrative.' 7.Booth,Rhetoric of Fiction,3-4. 8.예를 들어,어떤 사람이 '여호와의 목전에 악을 행했다' 또는 '여호와 보시기에 옳은 일을 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신명 기 역사서의 해설자가 간혹 반복해서 사용하는 해설에 주의를 기울이라.누가복음 1:6까지도 전혀 외람된 것은 아니다. 9.예를 들어,요한복음 3장에서 언제 예수의 말씀이 끝나고,언제 해설자의 소리가 시작되는지를 밝히기란 불가능한 일이다. Culp epper, Anatomy of Fourth Gospel,34-43을 보라. 10.제임스 도지(James Dawsey)는 누가복음이 신뢰할 수 없다고 드러난 해설자를 채용했다고 주장했다.The Lukan Voice.Conlfusi on and Irony in the Gospel of Luke ( Macon, Ga.: Mercer University Press, 1988)을 보라. 그의 논지는 다른 서사비평가들에 의해서 주목을 받지 못했다 ( Tannehill, Narrative Unity vol.1, p.7,n.4). 11.내재된 저자와 해설자를 구별하는 것은 해설자가 신뢰할 만하다고 여겨질 때는 그렇게 중요한 문제는 아닌데도,그 둘을 구별 하려는 시도가 여전히 되고 있다. 예를 들어,마가복음의 독자는 내재된 저자가 그렇게 전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으면서도,해설자가 거의 전능하다는 사실을 용납할 수 있는 것이다. 12.William D. Edwards,Wesley J. Gabel,and Floyd E. Hosmer,'on the Physical Death of Jesus Christ,' JAMA 255 (1986):1455 - 63,특히 1456. cf.Roland Mushat Frye, 'Language for God and Feminist Language: A Literary and Rhetorical Analysis,' Int 43 (1989):45-57,특히 56. 13.Culpepper,Anatomy of Fourth Gospel,165. 14.ibid.,181. 15.Metaphor and Reality,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62), 99-100. 16.John Darr,' 'This Fox':A Literary Interpretation of Jesus' Epithet for Herod in Luke 13:32,'1988년 SBL 연례 회의에 제출된 미간행 논문,공관복음서 부분. 17.Boris Uspensky,A Poetics of Composition: The Structure of the Artistic Text and Typology of a Compositional Form ( B 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1973). 18.Schoes and Kellogg,Nature of Narrative,240. 19.D.C.Mueke,The Compass of Irony ( London: Methuen,1969),19-20. 20.이것은 그가 '고정된 아이로니'(stable irony)라고 부르는 것에 관한 한 사실이다. A Rhetoric of Irony ( Chicago: Univers ity of Chicago Press,1974),5-6을 보라. 21.Paul Duke,Irony in the Fourth Gospel ( Atlanta : John Knox Press,1985),2. 22.cf.Culpepper,Anatomy of Fourth Gospel,169-75. 23.cf.Rhoads and Michie,Mark as Story,60. 24.이러한 실마리에 대한 충분한 논의에 대해서는 Wayne Booth,A Rhetoric of Irony (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1 974),47-90을 보라. 25.ibid.,10-13.부스는 음성적인 아이로니의 인식에 관한 이 네 단계를 상세히 밝히고 있다.상징이나 상황적 아이로니의 경우에 서,첫단계는 전적으로 문학적인 의미의 배제를 수반하기도 한다. 26.ibid.,12. 27.Chatman,Story and Discourse,229. 28.Duke,Irony in Fourth Gospel,38-39. 29.Culpepper,Anatomy of Fourth Gospel,151. 30.David Bauer,The Structure of Matthew's Gospel:A Study in Literature Design,JSNTSS 31/BALS 15 (Sheffield: Almond Pres s,1988),13-20을 보라. cf.Robert Traina,Methological Bible Study: A New Approach to Hermeneutics (Grand Rapids,Mich.:Zond ervan,1985;1952년에 초판발행), 50-59;Howard Kuist,How to Enjoy the Bible ( Richmond: John Knox Press, 1939);These Words Upon Thy Heart: Scripture and the Christian Response ( Richmond: John Knox Press,1947),80-87,159-81. 31.Rhoads and Michie,Mark As Story,47-49.그들은 그 방법을 '두 단계 진보'(two-step progression)라고 부른다. 32.Joanna Dewey,'The Literary Structure of the Controversy Stories in Mark 2:1-3:6,' JBL 92 (1973):394-401의 '집중적인 형태들'(concentric patters)에 대한 분석을 보라. cf.Rhoads and Michie,Mark As Story,51-54.
제4장 사건
1.Chatman,Story and Discourse,43-44. 2.ibid.,45. 3.나는 채트맨이 해석하고 있는 바르뜨를 말한다(Story and Discourse,53-56).핵심과 주변이라는 용어는 바르뜨의 noyau와 cata lyse를 채트맨이 번역한 것이다. 4.Chatman,Story and Discourse,55-56. 5.Gerard Gennette,Narrative Discourse:An Essay in Method (Ithaca,N.Y,: Cornell University Press,1975). 6.더 상세한 언급에 대해서는 다음을 보라:Gennette, Narrative Discourse, 33-85; Culpepper,Anatomy of Fourth Gospel,54-70; Robert W. Funk,The Poetics of Biblical Narrative ( Sonoma,Calif.: Polebridge Press,1988), 187- 206. 7.구원사에 대한 보다 전통적인 용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마태는 (지상적이고 승귀된) 예수의 시대를 '약속'의 옛 시대와는 구별 되는 '완성'의 새로운 시대로 본다. Kingsbury,Matthew:Structure,Christology,Kingdom (Minneapolis: Fortress Press,1989;초판 은 1975년에 출판되었다),25-36. 8.Gennette, Narrative Discourse, 86-112. cf. Chatman, Story and Discourse, 67-78. 9.Gennette, Narrative Discourse, 113-60. cf. Chatman, Story and Discourse, 78-79. 10.Edward Morgan Forster,Aspects of the Novel (New York: Hartcourt, Brace,Jovanovich,1927),86. 11.Chatman,Story and Discourse,45-46. 12.이러한 이유들이 암시적인 형태로도 전혀 언급되지 않을 때에도,우리는 독자들이 이것들을 추론해 낼 것으로 기대해야만 하 는가 하는 문제는 제랄드 프린스(Gerald Prince)와 슬로미스 림몬-케난(Shlomith Rimmon-Kenan)에 의해서도 논의되어진다.Funk,P oetics,52-58에 잘 요약되어 있다. 13.이 용어가 여기서 사용되어지는 방식과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서 사용되어지는 방식에 차이가 있음에 유의하라.아리스토텔레 스는 에피소드적인 플롯을 '그 에피소드들이 아마도 또는 필연적으로 서로를 따르지 않는' 것으로 묘사한다(Poetics 9,9). 14.폴 굳맨(Paul Goodman)은 이러한 문학작품에 대해서 많이 인용되어지는 말을 한다:'처음에 어떤 것이 가능하다.중간에는 일 들이 개연성이 있다.끝에는 모든 것이 필연적이다.' The Structure of Literature,(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1954) ,14를 보라. 15.Chatman,Story and Discourse,45. 16.Laurence Perrine, Story and Structure, 4th ed.(New York: Hartcourt, Brace, Jovonovich,1974),44. 17.ibid. 18.cf.Kingsbury,Matthew As Story,73. 19.cf.Norman R. Petersen,' When Is the End Not the End? Literary Reflections on the Ending of Mark's Narrative,' Int 34 (1980):151-66. 20.이 문제에 대한 보다 충분한 논의를 위해서는,NTS에 발표된 나의 논문 'The Plot and Subplots of Matthew's Gospel'을 보라 .그리고 다음을 보라: Bauer,Structure of Matthew's Gospel;Edwards,Matthew's Story of Jesus; Kingsbury,Matthew As Story; F rank Matera, 'The Plot of Matthew's Gospel,' CBQ 49 ( 1987):233-53; Dan Via, 'Structure,Chritology and Ethics in Matthew ,' in Spencer, Orientation By Disorientation,199-216. 21.Matera,'Plot of Matthew's Gospel,' 243-46. 22.이것들은 일반적으로 산상수훈(마태5-7장),선교담론(9:35-10:42),비유담론(13:1-52), 공동체담론(17:24-18:35),그리고 종말 론적 담론(마태24-25장)으로 불리운다. 23.Bauer,Structure of Matthew's Gospel,73-108. 24.예수께서 역시 '죄인들을 부르기 위해서'(9:13) 오신 한,그는 그의 지상적인 삶과 사역을 통해서 사람들을 죄에서 구원하시 는 목표를 상당히 성취하신 것이 사실이다.하지만 마태의 서사이야기에서는 그 목표는 궁극적으로는 예수의 십자가 상에서의 죽 음을 통해서만 성취되어진다. 25.그래서 나는 마테라의 견해에 부분적으로만 동의할 뿐이다.대위임이 '새로운 시작'을 시초시킨다고 해도,'마태복음 전체의 절정'은 십자가 상에서의 예수의 죽음이다.Ronald Witherup,'The Cross of Jesus: A Literary-Critical Study of Matthew 27,'Ph .D.diss.,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Virginia, 1985. 26.마태복음의 본질적으로 기독론적인 성격을 킹스베리만큼 잘 밝혀낸 사람은 없다.한 가지 흠은,그가 몇가지 관점들을 너무나 견고하게 내세움으로써 그것들이 이제는 본문과는 고립되어 보인다는 점이다. 27.킹스베리는 '이야기 행들'(story line)이라고 부르기를 좋아하는데,그것은 모든 주요 등장인물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Matt hew As Story를 보라. 28.마태복음 27:55-28:20을 상세하게 다룬 것으로는 Keith Howard Reeves,' The Resurrection Narrative in Matthew: A Literar y- Critical Examination,' Ph.D. diss.,Union Theological Seminay in Virginia,1988. 29.Bauer,Structure of Matthew's Gospel,129-34; Kingsbury, Matthew As Story,105-14. 30.간혹 되어지는 완전히 상이한 플롯연구방법을 여기서 논의하기에는 지면이 충분치 않다.한 서사이야기의 플롯은 그 지지자들 의 부침(浮沈)에 따라서 분석될 수 있다.채트맨은 '코미디,' '비극,''로망스'등으로 플롯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어온 몇가지 분류 체계들 (taxonomy)을 나열하고 있다 (Story and Discourse,84-95). 하지만 그는 이러한 유형들을 '심히 의문스러운' 것으로 간주 하고,그래서 이 방법은 지금까지 복음서의 서사비평에는 그렇게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지지 않았다. cf. Culpepper,Anatomy of Fou rth Gospel,80-84.
제5장 등장인물들 1.cf. Perrine,Story and Structure,67. 2.Henry James, 'The Art of Fiction,' in Partial Portrait ( London: MacMillan,1888). 3.Chatman,Story and Discourse,116-26. 4.Booth,Rhetoric of Fiction,3-20. 5.Uspensky, Poetics of Composition,8-100. 6.ibid.,8. 7.Petersen,' Point of View in Mark's Narrative.' Cf.J.M.Lotman, 'Point of View in a Text,' NLH 6 (1975):339-52,특히 343 . 8.Chatman,Story and Discourse,121. 이 부분에 나오는 Gordon W. Allport의 정의들을 보라. 9.하나님에 대한 사랑의 결여는 누가복음 11:42에서 종교지도자들에게 명확히 부여되어지는 성격이다. 10.Forster,Aspects of the Novel,103-18. 11.Abrams,Glossary,185. 12.ibid.,48. 13.ibid.,49. 14.이러한 현상은 마태복음에 가장 잘 기록되어 있는데,마태복음에서는 특정한 칭호들이 때로 단일 에피소드 내에서도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변한다(cf.21:23,45). Sjef Van Tilborg, The Jewish Leaders in Matthew ( Leiden:Brill,1972), 171-72를 보라. 마가와 누가는 좀더 주의깊지만,여기에서도 '서기관들'은 두 복음서 전체에 걸쳐서 누구를 가리키는지가 불분명하며,실제로 모든 다른 그룹들과 결합되어서 나타나고 있다. 15.예를 들어, 다음을 보라:Jack Dean Kingsbury,' The Developing Conflict Between Jesus and the Jewish Leaders in Matthew 's Gospel: A Literary- Critical Study,' CBQ 49 (1987):57-73;Mark Allan Powell,' The Religious Leaders in Luke: A literar y-Critical Study,' JBL 109 (1990):103-20; Stephen H. Smith, ' The Role of Jesus' Opponents in the Markan Drama,' NTS 35 (1989): 161-82.소집단들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고하라: Elizabeth Struthers Malbon, ' The Religious Leaders in the Gospel of Mark: A Literary Study of Markan Characterization,' JBL 108 (1989): 259-81; John T. Carroll,' Luke's Portrayal of the P harisees,' CBQ 50 (1988): 604-21. 16.누가가 종교지도자들을 18:10-14의 예수의 비유의 청중들이라고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아도,그 비유는 자체적으로도 종교지도 자를 18:9에 나열된 성격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인물임을 알려준다. 17.마태복음의 이 구절들을 상세히 분석해 놓은 것을 보기 위해서는 Mark Allan Powell,"The Religious Leaders in Matthe w:A Literary Critical Approach," (Ph.D.diss.,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Virginia,1988),177-82를 보라. 마가복음에 관해서는 Joanna Dewey, Markan Public Debate: Literary Technique, Concentric Structure and Theology in Mark 2:1-3:6, SB LDS 48 (Chico,Calif.:Scholars Press,1980)을 보라. 누가복음에서는 그 형태가 그렇게까지 완벽하게 나타나지는 않지만,그래도 식별은 가능하다. 18.누가복음에서,그들은 예수의 제자들이 아닌 예수에게만 직접적인 비평을 하지 않는다(cf.5:30,6:2). 19.Gerard Barth,"Matthew's Understanding of the Law," in Günther Bornkamm, Gerhard Barth, and H.J.Held,T radition and Interpretation in Matthew, trans. P. Scott( Philadelphia: Westminster,1963),105-12. 20.이 점,그리고 이어서 나오는 마가복음의 인물성격에 대한 논의는 Kingsbury, Conflict in Mark: Jesus, Authorities, Discip les ( Minneapolis: Fortress Press,1989),14-21에 많은 도움을 받았다. 21.메이어 스턴버그(Meir Sternberg)는 '일차적인 효과'(the primary effect)의 문학적인 중요성에 대해서 말하는데,이것에 의 해서 초기에 서사이야기에 전달되어진 정보가 독자의 인식을 최대한 비판적으로 형성시켜준다.Expositional Modes and Temporal Ordering in Fiction ( Baltimore: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1978), 102-04를 보라. 22.Kingsbury,Matthew As Story,19. 23.예수께서 누가복음에서 그들을 악하다고 부르시는 것에 가장 근접한 표현은 그들이 악으로 가득차 있다는 것이다(11:39).여 기서 핵심은 그들의 근본적인 성격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고,외모는 믿을 수 없을 만큼 깨끗한데도 거짓말을 한다는 것이다.더구 나 그 악독함은 그들이 깨끗케 할 수 있는 어떤 것이다(11:40). 24.이것은 23:2-3이 아이로니칼하게 여겨지는 것으로 생각한다.8:18-22에 관해서는,Jack Dean Kingsbury,"The 'Eager' Scr ibe and the 'Reluctant' Disciple (Matt.8:18-22)," NTS 34(1988):45-59를 보라. 25.물론 어떤 사람들,특히 사울(바울)이 사도행전에 그렇게 한다.누가 역시 그의 복음서에서 그들의 이야기를 '예외적인 것들'( exceptions)로 규정하고 괄호로 묶어 놓음으로써,종교적인 지도자들에 대해 얼마만큼의 희망을 품게 한다.사가랴와 아리마대 요 셉은 그 이야기의 첫번째와 마지막에 등장하는 종교지도자들인데,그들은 명백히 '의롭다'고 성격지워지며(1:6,23:50),그래서 이 들은 종교지도자들에 대한 묘사가 이야기의 어디에서나 절대적인 것으로 여겨질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상기케 해준다. 26.Cf.Tannehill,Narrative Unity,vol.1,8-9. 27.Kingsbury,Conflict in Mark,66-67.
제6장 배경 1.Cf.Rhoads and Michie,Mark As Story,63. 2.Chatman,Story and Discourse,138-41.채트맨은 생물학,(이름을 소유한) 정체성,그리고 명확히 구별하기 위해서 플롯에 부여하 는 중요성(significance)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성이 없다고 말한다.마찬가지로 웨슬리 코트(Wesley Kort)는 '인간의 영향, 수정,그리고 통제를 넘어서 있는' 요소들로서의 배경에 관심을 기울였다. Kort,Narrative Elements and Religious Meanings (Phi ladelphia: Fortress Press,1975),20-21을 보라.하지만 이러한 정의는 그가 '환경'(atmosphere)이라고 부르는 것에게만 적용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보트와 보트를 젓는 사람을 구별하는 것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내 견해로는,보트는 그것이 특별한 관점을 지지 하지 않는다면 배경이라고 불리울 수 있고,특별한 관점을 지지하면 등장인물로 불리울 수 있다. 3.Rhoads and Michie,Mark As Story,63. 4.Chatman,Story and Discourse,141. 5.Abrams,Glossary,175. 6.Mieke Bal,Narratology:Introduction to the Theology of Narrative (Toronto:University of Toronto Press,1985),45-46,94. 7.문학비평가들은 이러한 묘사들이 적절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D.S.Bland,"Endangering The Reader's Neck: Backgroun d Description in the Novel," in Phillip Stevick,The Theory of the Novel (New York: Free Press,1964),313-31을 보라. 8.Bal,Narratology,94. 9.Funk,Poetics,141. 10.The Jewish War 5.212-14.David Ulansey,"The Heavenly Veil Torn: Cosmic Symbolism in the Gospel of Mark"(198 8년 SBL연례회의에 제출된 미간행논문,공관복음서 부분). 11.유형론적인 대상들은 헬라어에서 부사적인 소유격의 사용과 단순히 일치되지 않는다.지역적인 경우는 마가복음3:2에서 사용 되어진다.그러나 문맥은 그 지칭대상이 시간적인 배경과 관련되어서 우선적으로 유형론적임을 보여준다. 12.예를 들면,마태복음에서 에피소드들은 대개 '그때'라는 한 단어로 시작된다.마가복음에서는 '곧'이라는 단어를 택해서 사용 한다. 13.이 두 여인 사이의 아이로니컬한 연결은,피의 흐름이 월경을 가리키고 또 열두살을 대략 임신가능해지는 때를 카리키는 것으 로 이해한다면,더 강력해질 것이다.Cf.Herman C.Waetjen,A Reordering of Power: A Socio-Political Reading of Mark's Gospel ( Minneapolis:Fortress Press,1989),122. 14.Paul Ricoeur,Time and Narrative,3 vols.( Chicago:University of Chicago Press,1984),1986,1988)를 보라.기념적인 시간의 개념은 두번째와 세번째 책에서 주로 전개되고 있다. 15.Rhoads,"Narrative Criticism",413. 16.Rhoads and Michie,Mark as Story,63-72,특히 65-67. 17.Elizabeth Struthers Malbon,Narrative Space and Mythic Meaning in Mark ( San Francisco: Harper & Row,1986).말본은 레비-스트라우스의 구조분석체계를 활용한다. 18.Sean Freyne,Galilee,Jesus,and the Gospels:Literary Approaches and Historical Investigations (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8), 33-68도 보라. 19.Rhoads and Michie,Mark As Story,64-65. 20.ibid.,64. 21.Dan Via,The Ethics of Mark's Gospel in the Middle of Time (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85). 22.Genette,Narrative Discourse,72. 23.누가-사도행전에 있는 것처럼,몇개월(Cf.누가복음1:56)이나 심지어 몇년 (행11:26,18:11)이 소요되는 사건들에 대한 언급은 마가복음에는 없다.심지어 마가복음 5:25는 발화되는 이야기 안에서 흐르는 시간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는다. 24.예수께서 오셔서 주의 신원의 해를 선포하시는,누가복음의 이야기와 비교해보라. 25.마가복음1:35과 16:2에서,헬라어 표현은 lian(매우)과 proi(일찌기 또는 아침에)가 결합되어 있다.1:35에서는,이것은 명백히 일출 이전의 시간을 가리킨다.그리고 16:2에서는 일출 직후의 시간을 가리킨다. 26.Bruce Malina,The New Testament World.Insights From Cultural Anthropology ( Atlanta:John Knox Press,1981)를 보라.말리 나는 존경과 수치에 부여된 핵심적인 가치,개인주의의 결여,제한된 물자에 대한 경제적인 인식,친족과 결혼의 장소,그리고 1세기 지중해 사회에서의 정함과 부정함에 대한 이해를 논급하고 있다. 27.Waetjen,Reordering of Power,117-18. 28.이러한 운동들에 대해서는,Richard Horsely와 John Hanson이 쓴 Bandits,Prophets,and Messiahs.Popular Movements ant the Time of Jesus ( San Francisco: Harper & Row,1985)를 보라.
제7장 이야기 성서
1.Robert Karris,Luke:Artist and Theologians. Luke's Passion Account As Literature. TI (New York: Paulist Press,1985). 2.William Farmer,"Source Criticism: Some Comments on the Present Situation," USQR 42(1988):49-57,특히 53.파머 의 언급은 내가 구성비평이라고 부르려 하는 문학연구에 대한 것이지만,그의 관점은 분명히 서사비평에 적용된다. 3.예를 들면,Theodore Weeden,Traditions in Conflict (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71)를 보라. 4.예를 들면, Ernest Best, Disciples and Discipleship:Studies in the Gospel According to Mark(Edinburg: T&T Clark,19 86)을 보라. 5.Colin E.Gunton,Enlightenment and Alienation: An Essay Towards a Trinitarian Theology(Grand Rapids,Mich.:Eerdmans,1985 ),111. 6.그 구절은 루터가 성서의 '문자적 의미'라는 것으로 말하려고 했던 것과 대충 일치한다.루터는 '문자적으로 사실인 것'과 '역 사적으로 정확한 것'을 동등시하려고 하지는 않는다. 프라이의 견해를 요약해 놓은 것을 보려면, Garret Green, Scriptural Auto rity and Narrative Interpretation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87),59-78에 수록된 Kathryn E.Tanner,"Theology and the Plain Sense"를 보라. 7.서사비평은 이런 문제를 비신화화에 관한 불트만의 생각과 전혀 상반되는 방식으로 다룬다.불트만은 신화적인 골격을 실존주 의 철학의 범주들로 해석함으로써,텍스트들로부터 도덕적이고 또한 철학적인 진리를 추출해내려고 시도한다.서사비평은 텍스트의 의미를 그것이 표현되어지는 형태와 분리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그래서 이야기(신화와 모든 것)를 우리가 그 안으로 들어 가고 경험하는 세계로 파악한다. Lynn Poland, Literary Criticism and Biblical Hermeneutics, AARAS 48(Chico,Calif.:Scholars Press,1985),22-53을 보라. 8.본서의 제5장에서 다룬, 마태복음의 종교지도자들에 대한 논의를 보라. 9.Allan Culpepper,"Story and History in the Gospels," RevExp 81(1984): 476-77,특히 473. 10.예를 들어,트렘퍼 롱맨(Tremper Longman)은 텍스트가 분명히 사실대조적이며,그 역사적인 묘사에는 '틀림이 없다'고 주장하 면서,한편으로는 성경을 현대의 문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하는 것도 수용한다.다른 한편으로,샐리 맥패이그(Sally McFague)는 성경 이 '우리에게 계속해서 말하는 문학적인 고전'이라는 점에서만 권위를 가진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성경에 대한 문학적인 접근 을 선호한다. H.Conn, Inerrancy and Hermeneutic.A Tradition,A Challenge,A Debate(Grand Rapids,Mich.:Baker Book House,1988 ),137-49에 수록된 Longman,"Storytellers and Poets in the Bible. Can Literary Artifice Be True?"; McFague, Spe aking in Parables (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75); idem, Metaphorical Theology: Models of God in Religious Language ( Philadelphia: Fortres Press,1982)를 참고하라. 11.Lonnie Kliever,The Shattered Spectrum:A Survey of Contemporary Theology ( Atlanta: John Knox Press,1981),156. 12.Culpepper,"Story and History,"470. 13.ibid.,474. 14.Culpepper,Anatomy of Fourth Gospel,8-11과 Longman, Literary Approaches,47-58을 보라. 15.Karl Ludwig Schmidt, Der Rahmen der Geschichte Jesu( Darmstad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64, 초판은 191 9년에 출간). 16.Roland Mushat Frye,"A Literary Perspective for the Criticism of the Gospels," in D.G.Miller and D.Y.Hadidi an, Jesus and Man's Hope ( Pittsburg: Pittsburg Theological Seminary Press,1971),192-221,특히 220 n.42. 17.Stephen Moore,"Are the Gospels Unified Narratives?" in SBL 1987 Seminar Papers,(Atlanta,Ga.:Scholars Pres s,1987),443-58. 18.Petersen("Point of View in Mark's Narrative,"104)과 Moore("Are the Gospels Unified Narratives?" 452 n.56)의 주장과는 다르다. 19.탄네힐(Narrative Unity)과 도지(Lukan Voice)는 둘다 독자가 누가복음1-2장과 누가복음 나머지 부분 사이의 명백한 불일치 를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정연하게 설명하고 있다(나는 탄네힐의 주장에 동의한다).무어("Are the Gospels Unified Narrativ es?")는 이러한 입장들을 제시하고,둘 다 누가저작의 통일성을 확립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사실을 발견한다.하지만 문제는 그 이야기를 통일성있는 것으로 읽는 사람이 거기에 나타나는 불일치를 어떻게 해소시켜 나가느냐 하는 것을 묘사하는 것이다. 20.Auerbach,Mimesis.본서의 1장에 논의된 것을 보라. 21.Frye,The Great Code,46-47. 22.Christopher Tuckett,Reading the New Testament. Methods of Interpreatation (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87),174-7 5. 23.ibid.,175,179-80. 24.어떤 문학비평가들은 새로운 학문에 경도되어서,전통적인 방법을 멸시하기도 했다.이 '수사학적인 충격 요법'( rhetorical s hock tactics)도 역시 일반문학진영에서 신비평의 초기 지지자들에 의해서 사용되었다가,후에는 바로 그들에 의해서 거부되었다. McKnight, Bible and the Reader,3-4를 보라. 25.Poland,Literary Criticism,4. 26.Iser,The Implied Reader.그 용어는 정의되지 않은 채,종종 사용된다(주제 색인에 수록된 항목들을 보라). 27.학자들은 대체로 '마가복음이 기록된 것이 주후 70년의 예루살렘 멸망 전인가 아니면 멸망 후인가' 하는 역사적인 문제들이 서사비평에서는 적합하지 못하다고 생각하지만,이것은 그러한 경우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웨인 부스는,케네디 대통령이 암살당할 것이라는 사실을 독자들이 알기만 한다면,재난이 임박했다는 느낌을 갖게 하는,1960년대 초에 출판된 소설들을 인용한다 (Rheto ric of Fiction,423). 이와 비슷하게,마가복음의 의도된 문학적인 효과에 대한 주장들은 이 서사이야기가 독자들이 예루살렘에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지를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28.'지침'(index)이라는 용어는 구체성이나 확실성을 띠지 않는 어떤 것을 간접적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가리키는 것을 의미하 기 때문에 도움이 된다.Kingsbury,"Reflections on the 'Reader'",459를 보라. 29.텍스트들이 실제로는 의미를 담고 있지 않으며,그것을 읽는 사람들에게 효과를 가져다 줄 뿐이라는 볼프강 이저의 논지를 참 고하라:"텍스트는 독서과정에서 실현되어지는 잠재적인 효과를 대변한다"(Act of Reading,ix).이와 비슷하게 불트만은 신약성경이 신앙 안에서 적합할 때 하나님의 말씀이 "된다"고 말하기를 즐겨했다.Poland,Literary Criticism,32를 보 라. 30.Poland,Literary Criticism,20.성서해석자로서의 루터에 대해서는,Int 37/3 (July,1983)을 보라. 31.Culpepper,"Story and History,"475. 32.Frei,Eclipse of Biblical Narrative. 33.Krister Stendhal, "Biblical Theology, Contemporary," IDB, vol. 1:418-31 (Nashville: Abingdon Press, 196 2)를 보라. 34.이 용어는 Thomas Kuhn,The Structure of Scienltific Revolutions,2d ed. (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1970)에 서 따왔다. 35.Leander Keck,"Will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Survive?" in Spencer, Orientation by Disorientation,115- 27. 36.Culpepper,"Story and History,"473.이러한 이유로 인해서,신학자들에게 '휴식공간'을 주기 위해서 또는 그들로 하여금 진리에 대한 '이상한 질문들에 빠져들도록'하기 위해서 이 방법을 사용할 때는,이 방법은 그릇 사용되는 것이다. Green, "The Bible As...':Fictional Narrative and Scriptural Truth," in Scriptural Authority and Narrative Interpretat ion 79-96,특히 80을 보라. 37.스티픈 무어는 "이야기 중심의 비평가들은 복음서와 사도행전의 신학들의 체계적인 탐구를 이루고자하는 어떤 경향도 지금까지 보여주지 않았다"고 말한다(Literary Criticism,58).이것은 그들이 자신들의 학문의 한계를 인식하기 때문은 아닐 까? 38.모리스 와일즈(Maurice Wiles)는 이러한 성경읽기가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우리는 그렇게 만들어진 이야기를 "매우 나 쁜 것"으로 간주해야만 할 것이라고 말한다. "Scriptural Authority and Theological Construction: The Limitations of Narrative Interpretation," in Green, Scriptural Authority and Narrative Interpretation, 42-58,특히 48를 보라. 39.이 유비는 론 할스(Ron Hals)가 나에게 제안한 것이다.
차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