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연구:멜리데 Melita
1. 위치와 크기
1) 지중해 중부의 작은 군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인도인 말타(Malta), 고조(Gozo), 콤미노(Comino)와 4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는 국가이다.
2) 시실리 남쪽으로 약 100Km 떨어져 있으며 면적은 약 246Km2를 점하고 있다.
3) 지중해 패권을 다투는 데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다.
4) 1986년 당시의 인구는 약 삼십만이었고 수도는 발레타(Valetta)이다.
2. 지형과 기후
1) 남쪽은 글로비게리나 석회암 지대, 서쪽은 185-246m 높이의 산호 석회암 고지대이다.
2) 멜리데와 다른 섬들의 해안선은 항구, 만, 모래 해변, 바위 동굴들로 이루어져 있다.
3. 국민과 보건 체제
1) 멜리데의 인종은 이탈리아 인, 아랍 인, 영국인, 페니키아 인들로 혼합되어 있다. 종교는 로마 카톨릭이고 공식 언어는 영어와 멜리데 어이다.
2) 자연적인 인간 증가율은 비교적 낮으나 상승 추세이다. 개선된 건강 보호로 유아 사망율이 선진국 수준으로 낮다. 평균 수명도 길어졌다.
3) 인구의 5분의 4가 도시에 거주한다.
4. 경제 활동
1) 멜리데는 주로 관광, 경공업, 선박, 농업에 기초하고 있다.
2) 마르삭슬로크(Marsaxlokk) 만의 새로운 항은 멜리데의 무역 중심지로서 크게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별히 선적을 옮겨 싣는 것에서 그렇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3) 총인구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일인당 국민 총생산과 소득은 세계 개발도상국들중 높은 편에 속한다.
4) 전체 면적의 44%는 경작할 수 있고 채소, 시리얼, 감자, 감귤 등의 경작은 작은 테라스 형태의 길고 좁은 땅에서 이루어진다.
5) 농작물은 자급자족이 되지만 국민 총생산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4%에 지나지 않는다.
6) 광산 자원은 빈약하고 광업은 건축 자재의 생산에 제한되어 있다. 제조업은 국민 총생산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수출품들은 섬유, 봉재, 신발, 전기재료와 플라스틱 등이다.
7) 관광 산업은 멜리데의 주요한 산업이며 외화 수입원이다. 관광객들 대부분은 영국에서 온 사람들이다.
8) 기초 시설은 매우 발전되어 모든 도로들은 포장되어 있다. 드라이 도크는 1973년에 국유화되었다. 선박의 건조와 수리는 중요한 산업이다. 주요항과 국제 공항은 수도인 발레타에 있다.
5. 문화와 예술
1) 민간 전승은 축제를 통하여 발전되었다. 이 축제는 마을의 수호성인을 기념한다.
2) 독특한 신석기 유적들 말고도, 17,18세기에번성한 건축 학파들의 중요한 유적들이 있다.
3) 이탈리아 예술가들이 이곳에서 수년을 보냈는데 그들의 그림이 많은 교회를 장식하고 있다.
4) 문학은 국민적 서정시인인 둔 카름(Dunn Karm)의 작품 등이 있다.
6. 역사적 발전 과정
1) 최초의 고고학적 유적은 주전 38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2) 거석 문화는 페니키아 인들의 정착 증거로 여겨진 때도 있었지만 현대의 고고학은 선사인들이 세운 것이라 말하며 지중해 연안의 가장 오래된 기념물 중 하나이다.
3) 주전 9세기경에 페니키아 인들에 의해 식민지가 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몇 가지 설명들은 그리스 정복을 나타내기도 한다.
4) 이 섬은 6세기에 고대 카르타고 인들(Punic)의 관할하에 있었다. 멜리데가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로마인들의 손으로 넘어가 다른 섬들과 행정장관의 통치를 받았지만 멜리데의 고대 카르타고 인들의 특징은 신약 시대에도 이어졌다.
5) 주전 218년에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로마의 분리로 콘스탄틴노플이 관할하는 동방 구역에 소속되었다.
6) 870년에 아랍인들이 이곳의 주인이 되었다.
7) 1091년에 당시 시실리의 주인이었던 노르만 귀족 로저(Roser) I세의 아랍 사람 정복으로 로마 카톨릭이 다시 설립되었고 주교들이 임명되었다.
8) 1530년에 멜리데는 기사 수도회로 알려진 종교적인 군대에 넘겨졌다가 나폴레옹이 1798년 이 섬들을 정복하였을 때 반환되었다.
9) 영국 치하에서 멜리데의 정치 상태는 일련의 성쇠를 겪었다.
10) 제1차 대전 당시 지역 수비대와 많은 수병을 제공하였다. 1921년에 자치령이 되었고 1936년에 식민 정권을 전복하였다.
11) 1964년에 영연방에서 독립을 획득하였고 74년에 공화국이 되었다. 1979년 영국과의 동맹이 끝나자 다른 나라들과의 조약을 통하여 중립성을 확보하였다.
7. 문헌(성경)의 언급
1) 로마로 가는 도중에 바울을 실은 배가 파선되어 모든 여행자들이 멜리데에 상륙하였다(행28:1). 바울 일행이 상륙한 위치는 북쪽 지역에 있는 세인트 폴 만(St. Paul's Bay)으로 현재의 벨레타(Velletta) 북동쪽으로 약 13Km 떨어진 곳이다. 이곳에서 3개월 동안 체류하면서, 바울 사도는 독사의 독에 해를 받지 않음으로 원주민들로 하여금 그를 신으로 생각하게 하였다(3-6절).
2) 멜리데는 페니키아 인들에 의해 주전 7세기부터 점령되었다. 그 이름 자체는 그 언어에서 '도피처'(refuge)를 의미한다. 나중에, 시실리안 헬라 인들도 오게 되었는데 그 섬에 주후 1세기의 이중 언어 비명들이 있다.
3) 주전 218년에, 그 섬은 카르타고 사람들에게서 로마의 통제권에 넘어갔고 후에는 '시비타스'(civitas)를 얻게 되었다. 이곳의 거주민들은 헬라어를 하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바르바로이(bar- baroi)들이었다.
4) 누가는 4절에 그들의 신들 중 하나인 공의(Dike-Justice)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제일 높은 사람'인 보블리오는 아마도 시실리 행정장관(propraetor)하에서 봉사하였을 것이다. 그의 칭호는 비명에 의해 입증된다.
8. 이스라엘과의 관계
1) 유대인들이 로마 시대부터 멜리데에 있었다는 것은 메노라(menorah)의 상징이 있는 카타콤브의 발견으로 입증되었다.
2) 이스라엘은 멜리데가 독립하기 이전에도 협력 관계를 이어왔다. 실패했지만 이스라엘과 아랍 사이를 중재하려고 하였다.
3) 1966년에 이스라엘 대사관이 개설되었고 로마에 있는 이스라엘 대사가 겸임하였다. 이스라엘의 수출품들은 낙농, 양계, 조림 프로젝트의 발전에 조력하였다.
'성경 > 바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울이 만난 예수 그리스도 (0) | 2009.08.21 |
---|---|
사도행전 28장 31절 (0) | 2008.08.26 |
사도행전 28:1 - 28:10 / 찬송가 79 장 (0) | 2008.08.26 |
멜리데 섬을 거쳐 로마로(사도행전 28:1-15) - (0) | 2008.08.26 |
멜리데 선교 사역 (행27:1-28:10) (0) | 2008.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