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극/바울 주변인물

성경 속 인물] 바울의 동역자, 의사 누가(Luke)

은바리라이프 2008. 8. 25. 21:32

성경 속 인물] 바울의 동역자, 의사 누가(Luke)
2007년 01월 17일 (수) 13:45:05 올댓뉴스 webmaster@allthatnews.co.kr
   
성모를 그리고 있는 성 루가, Mabuse라고도 불리는 Jan Gossaert가 그린 유화(부분)
AD 1세기에 활동했던 ‘누가’의 이름은 헬라어로 ‘빛을 주는 자’, 혹은 ‘총명하다’는 뜻이다.

그의 부모나 가정에 대한 기록은 없지만 그는 겸손하고 아름다운 성품, 풍부한 교양과 웅변술, 철학적 자질을 가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누가는 초대교회의 유일한 자료인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을 기록했으며 그 두 권의 책은 신약 중에 가장 문학성이 뛰어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는 사도 바울의 동역자로서 여러 차례 전도여행에 따라다니며 바울의 의사이기도 했다. 그는 바울과 함께 로마의 감옥에 갇히기도 할 만큼(몬1:24) 충실한 동반자였다.

누가는 당시로 말하면 과학자로서 초대 교회 역사의 자료를 널리 수집해 데오빌로라는 한 사람의 영혼을 위해 두 권의 책을 기록(눅1:3, 행1:1)했는데 결국 오늘날 전 인류를 위한 경전이 된 것이다.

누가가 전한 예수님은 이스라엘만이 아닌 세계 만민에게 비추는 빛이요, 복음이었다.
“...내가 온 백성에게 미칠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을 너희에게 전하노라 (눅2:11)”
“이는 만민 앞에 예비하신 것이요, 이방을 비추는 빛이요, 주의 백성 이스라엘의 영광이니이다 하니 (눅2:31-32)”

많은 학자들이 누가를 할례 받은 동료들로부터 구별(골4:11)해서 그가 이방인이었다는 결론을 내려왔는데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그는 신약성서에서 유일하게 분명한 비(非)유대인 저자인 셈이다.

그러나 이 결론은 할례를 받은 사람들을 유대 그리스도교인과 동일시한 데 근거하며, 그것은 확실하다고 볼 수 없다. 실제로 그 구절에서는 유대교 의식을 엄격히 지킨 특정 유형의 유대 그리스도인들을 가리킨 듯하다.

그러므로 이 구절은 누가가 이방인이었다는 견해를 뒷받침해주지 못한다. 구약과 그의 글에서 나타나는 관심사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할 때 누가는 그리스도적 생활 방식을 따르고, 유대 의식을 철저히 준수하지는 않았던 유대 그리스도인이었다는 견해가 더 타당하다고 보여진다.

다음 구절에서 누가가 바울과 함께할 때 우리(we)라는 단어를 처음 쓰기 시작한다.
“바울이 그 환상을 보았을 때 우리가 곧 마게도냐로 떠나기를 힘쓰니 이는 하나님이 저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라고 우리를 부르신 줄로 인정함이러라 (행16:10)”

누가는 드로아에서 빌립보까지 바울과 함께 전도여행을 하게 된다.
“우리는 무교절 후에 빌립보에서 배로 떠나 닷새 만에 드로아에 있는 그들에게 가서 이레를 머무니라 (행20:6)”

바울이 2년 동안 옥중에 있을 때 누가는 바다를 건너 가이사랴에 있었고, 그 후 그들은 로마로 떠나는데(행27:1) 아피안 해를 따라 로마에 도착했으며 거기서 바울이 감옥에 갇히고 누가는 바울이 순교할 때까지 그와 함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누가는 바울의 총애를 받은 의사로서 바울이 골로새 교회를 향해 서신을 기록할 때 함께 있었다. 누가복음에는 의학용어가 약 50여 번 나오는데 바울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랑을 받는 의사 누가와 또 데마가 너희에게 문안하느니라 (골4:14)”

'성극 > 바울 주변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4인물. 바울곁의 사람들(1) - 아나니아   (0) 2009.09.05
가말리엘 [Gamaliel, ?~?]   (0) 2009.08.21
위대한 누가.   (0) 2008.08.25
동역자 누가  (0) 2008.08.25
누가(Luke)  (0) 2008.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