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9 강 스바냐 제 9 강 스바냐 --> 제 9 강 스바냐 1. 스바냐서의 서론 어느 시대나 악한 통치자 시대가 끝나면 선한 통치자가 등장하여 새로운 역사를 창출하곤 한다. 스바냐서는 유다 왕 중의 가장 악한 왕 중의 한 명인 아몬드의 시대가 끝나고 요시야 왕이 등장하여 종교개혁을 이룬 초기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 성경주석강해/소선지서 2008.04.26
연구 2 하박국의 기도(합3장) 연구 2 하박국의 기도(합3장) --> 연구 2 하박국의 기도(합3장) 본 장에서는 하박국이 두 번의 질문을 통한 응답을 받은 후 악인은 반드시 심판당할 것이며 하나님의 택한 백성들에게는 반드시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을 찬양하는 하박국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앞장에서 보여지는 불평과 불만으로 가득 찬.. 성경주석강해/소선지서 2008.04.26
연구 1 하박국의 고민(합1,2장) 연구 1 하박국의 고민(합1,2장) --> 연구 1 하박국의 고민(합1,2장) 본문은 하박국과 하나님과의 질문과 대답의 형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 질문은 성도라면 한번쯤은 해봄직한 질문들이다. 공의로우신 하나님이시라면 이 땅의 생활도 공의롭게 역사하셔야만 하는데 선지자 하박국의 눈에는 그렇지가 않.. 성경주석강해/소선지서 2008.04.26
제 8 강 하박국 제 8 강 하박국 --> 제 8 강 하박국 1. 저자와 저작 시기 1) 저자 하박국이라는 이름은 앗수르 사람들이 부르는 원예 식물의 이름인 '함바쿠쿠'에서 나온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거기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없다. 칠십인역(LXX)에서는 암바쿰이라고 한다. 벌레이트(Vulgate)역에 서는 아바쿠크로 표현되어 있.. 성경주석강해/소선지서 2008.04.26
연구 1 니느웨의 멸망(나1-3장) 연구 1 니느웨의 멸망(나1-3장) --> 연구 1 니느웨의 멸망(나1-3장) 본 서의 내용은 앞서 요나가 보여 준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인다. 즉 요나를 통한 니느웨의 구원의 모습과 구원받는 니느웨가 또다시 범죄함으로 인하여 하나님의 심판을 받는 모습인 것이다. 니느웨의 멸망은 유다 민족들에게는 기.. 성경주석강해/소선지서 2008.04.26
제 7 강 나훔 제 7 강 나훔 --> 제 7 강 나훔 1. 저자와 기록 연대 1)저자 나훔서는 선지자 나훔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나훔'으로, 칠십인역(LXX)에서는 '나움'으로, 벌게이트(Vulgate)역에서는 '나훔'으로 명명되고 있다. 그 뜻은 '위인자'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뜻을 지닌 '나훔'이 본 서의 .. 성경주석강해/소선지서 2008.04.26
연구 3 징벌과 언약(미6, 7장) 연구 3 징벌과 언약(미6, 7장) --> 연구 3 징벌과 언약(미6, 7장) 본문은 미가의 마지막 예언으로 4장과 5장에서의 위로하심에 대조하여 또다시 이스라엘 백성들의 예배 행위에 대하여 고발하는 내용이다. 그래서 마지막 부분인 본문은 하나님의 그의 백성들과 더불어 쟁변과 변론 형식으로 시작되었다. 이.. 성경주석강해/소선지서 2008.04.26
연구 2 심판과 위로(미3-5장) 연구 2 심판과 위로(미3-5장) --> 연구 2 심판과 위로(미3-5장) 미가서 1장과 2장에서는 이스라엘의 죄악을 지적하시고 그들을 반드시 심판하시겠다는 하나님의 확고한 의지를 볼 수 있다. 동시에 남은 자에 대한 약속, 곧 그들을 회복하실 것에 대한 소망도 선포되었다. 본문에서 미가는 이스라엘의 지도.. 성경주석강해/소선지서 2008.04.26
연구 1 이스라엘에 내린 재앙(미 1,2장) 연구 1 이스라엘에 내린 재앙(미 1,2장) --> 연구 1 이스라엘에 내린 재앙(미 1,2장) 미가의 메시지는 이사야의 것을 보완하고 있다. 그들은 같은 시대에 살았으나, 이사야가 귀족 출신이라면 미가는 외딴 마을에서 온 시골 출신이다. 이사야가 정치가라면 미가는 복음 전파자요, 사회학자였다. 이사야는 .. 성경주석강해/소선지서 2008.04.26
제 6 강 미가 제 6 강 미가 --> 제 6 강 미가 1. 저자와 기록 연대 1) 저자 열두 소선지자 중 여섯번째인 미가는 자신의 예언서에서 자신의 신분을 확실하게 밝히고 있다. 미가(Micah)라는 이름은 미가야후(MiKaYahu)가 줄어진 형태로서 이것은 "여호와와 같은 자 누구인가"하는 의미이다. 그의 고향은 모레셋인데, 이곳은 예.. 성경주석강해/소선지서 2008.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