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G뉴스/기독뉴스

중국크리스천 1억명, 인구 100명당 7.6명

은바리라이프 2010. 10. 19. 23:00

중국크리스천 1억명, 인구 100명당 7.6명

[2010.10.17 15:42]   모바일로 기사 보내기


[미션라이프] 중국 인구 100명당 7명이 크리스천인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선교협의회(KCMA)는 17일 아시아하베스트의 2010년 통계를 인용, 중국 크리스천(가톨릭 신자 포함)은 1억347만945명으로 인구(13억5583만7457명)의 7.63%에 달한다고 밝혔다. 중국 대륙이 공산화된 1949년 당시, 기독교·가톨릭 인구가 433만8900명에 불과했다는 점에서 51년 만에 23.84배나 증가한 것이다.

이번 통계에 따르면 기독교 인구는 삼자교회(정부 공인교회) 2870만4556명, 가정교회(정부 비공인교회) 5313만9279명 등 8233만5876명에 달했다. 가톨릭 인구는 삼자교회 737만4118명, 가정교회 1327만4886명 등 2113만5070명으로 집계됐다.

복음화율은 저장성(18.54%) 허난성(14.75%) 안후이성(14.27%) 푸젠성(13.66%) 홍콩(12.72%) 상하이(11.22%) 헤이룽장성(9.75%) 네이멍구(9.15%) 산시(陝西)성(8.83%) 장쑤성(8.72%) 순이었다. 복음화율이 가장 낮은 곳은 시장(티베트)자치구로 0.32%에 불과했다. 광시좡족자치구 쓰촨성 후난성 톈진시 닝샤후이족자치구 등의 복음화율도 2∼3%에 지나지 않았다.

‘중국의 예루살렘’으로 불리면서 오순절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던 허난성이 가장 많은 크리스천(1464만4464명)이 분포돼있다. 저장성(917만359명) 안후이성(916만2639명) 장쑤성(666만853명) 허베이성(561만705명) 푸젠성(507만7618명) 산둥성(504만8109명) 광둥성(421만6782명) 헤이룽장성(381만7131명) 산시(陝西)성(339만7113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기독교의 경우 푸젠성과 장쑤성에서 삼자교회가 가정교회보다 신자 수가 더 많았다. 시장자치구는 기독교 삼자교회 신자가 한명도 없는 반면 가정교회 신자는 1226명으로 집계됐다. 가톨릭의 경우 시장자치구에서는 삼자교회 교세가 가정교회의 10배 이상이었다.

한편 중국 정부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16일부터 25일까지 열리는 로잔복음화운동 제3차대회에 참석하려던 가정교회 지도자들의 출국을 적극 막은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 내부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은 “공안 당국이 지난달부터 네이멍구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샤먼 청두 원저우 등 중국 전역에서 교회 지도자들에 대한 여권 몰수, 회유, 가택연금 등이 이어졌다”면서 “네이멍구 바이터우시의 한 교회 지도자는 15일 구류 처분까지 받았다”고 밝혔다. 가정교회 지도자들과 해외 화교 교회지도자들은 15∼16일 각각 성명을 발표하고 “가정교회는 중국교회의 주체로서 독립자주적인 공동체”라면서 “로잔대회 참가를 불허하는 건 신앙의 자유를 보장한 헌법을 위반한 심각한 행위”라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국민일보 미션라이프 함태경 기자 zhuanjia@kmib.co.kr



중국 기독교·가톨릭 인구 및 복음화율

성(특별시·자치구) 기독교(삼자교회/가정교회) 가톨릭(삼자교회/가정교회) 복음화율(%)

안후이 281만1084명/568만4902명 25만3899명/41만2754명 14.27

베이징 9만4331/41만3372 9만1877/6만7025 4.52

충칭 39만9507/148만3327 24만9226/45만4147 7.79

푸젠 168만9667/149만5516 90만269/99만2166 13.66

깐수 34만7917/75만4010 5만2036/10만4073 4.60

광둥 81만4878/261만9932 29만6015/48만5957 4.55

광시좡족 18만2403/58만9246 6만6337/13만2673 2.03

꾸이저우 62만9722/109만1497 9만8934/19만7868 5.26

하이난 10만3684/45만1027 3618/7237 6.88

허베이 85만9069/88만8278 127만3843/258만9515 7.73

헤이룽장 109만1989/259만4836 4만3435/8만6871 9.75

허난 521만3336/883만3559 19만9190/39만8379 14.75

홍콩 48만3422 45만3960 12.72

후베이 65만6634/165만4719 9만6687/19만3374 4.02

후난 71만8670/138만2721 7만7271/15만4543 3.39

네이멍구 25만4450/130만5200 25만3980/50만7961 9.15

장쑤 303만6522/259만3189 41만2457/61만8685 8.72

장시 66만7317/113만4439 16만2625/32만5249 5.21

지린 40만3388/140만7010 9만1752/18만3504 7.18

랴오닝 81만6776/199만9510 13만9944/27만9888 7.11

마카오 8618 3만2106 8.60

닝샤후이족 7만503/10만5755 1만7626/3만5252 3.84

칭하이 4만4813/21만7207 6157/1만2314 5.35

산시(陜西) 85만6635/171만3271 27만0535/55만6672 8.83

산둥 148만9772/270만5671 28만4222/56만8444 5.16

상하이 43만4912/90만8647 24만2062/41만6836 11.22

산시(山西) 49만7457/161만1395 25만6586/51만3172 8.15

쓰촨 40만594/114만3322 41만3397/82만6793 3.11

톈진 6만1672/8만6675 11만2512/13만5014 3.69

시장(티베트) 0/1226 7163/700 0.32

신장위구르 14만2551/67만6840 1만780/2만1560 4.24

윈난 118만1861/148만4880 21만8709/43만7417 7.21

저장 273만2442/410만8100 77만974/155만8843 18.54

총계 2870만4556/5313만9279 737만4118/1327만4886 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