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신앙의 등장 보살이란 불교의 핵심은 본래 ‘붓다’라는 특정 인물을 숭배하는 데 있다기보다는 그의 가르침을 따라 수행하면서 결국은 붓다처럼 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출가승들이 이상적인 상태에 이르기 위한 수행에 전념했다. 이찬수 (03/20) |
|
|
|
붓다, 신처럼 높여지다 열반, 해탈, 입적 붓다는 35세에 깨달음을 얻은 뒤 제자들을 키우며 가르치다가 80세 되던 해 열반에 들었다. ‘열반’(涅槃)이란 산스크리트어 ‘니르바나’(nirvana)의 한자어 음역으로서, 타오르던 번뇌의 불꽃이 “꺼져버린” 상태를 뜻한다... 이찬수 (03/20) |
|
|
|
'나'는 없다 - 불교의 핵심 인연과 무아 불교는 ‘인연법’에 따르는 종교다. ‘인연’에는 오늘 내가 나 된 것이 나 혼자의 힘이 아니라, 부모에, 자연에, 삼라만상에 빚지며 살아온 결과라는 뜻이 들어 있다. 세상만사는 ‘너’ 없이는 ‘나’도 존재할 수 없는, 상호의.. 이찬수 (03/20) |
|
|
|
불교와 세계 통권 21세기 종교 지형의 중심 축 동양의 세계관을 가장 잘 보여주는 종교는 무엇일까?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만을 놓고 보면 유교를 거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다가 아시아의 또 다른 한 축인 인도와 태국, 미얀마 등 동남아시아.. 이찬수 (03/20) |
|
|
|
힌두교 이천년 통권 후기 힌두교의 확립 고대 힌두교는 기본적으로 사제(바라문) 중심의 종교였던 까닭에 ‘바라문교’라고도 한다. 그러나 사제 중심적이었던 만큼 일반 대중과는 점차 괴리가 생겨나기도 했다. 게다가 기원전 6세기 경 생겨난 자이나교, 불교 등 .. 이찬수 (03/20) |
|
|
|
네가 그것이다(梵我一如) 범아일여(梵我一如)와 해탈 지난 호에서 본, 금과 금그릇, 악기와 악기소리, 거미와 거미줄과 같은 <우파니샤드>의 표현들은 다양한 현상세계와 그 세계의 근원, 즉 브라흐만과의 관계에 대한 비유이다. 현상 세계는 다양한 듯해도 근원에서 보.. 이찬수 (03/20) |
|
|
|
아트만과 브라흐만은 하나다 협의의 힌두교 지난 호에서는 힌두교를 일러 “인도인의 신앙 양식 총체”라 규정한 바 있다. 물론 이러한 폭넓은 규정에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 인도인 중에는 자이나교인이나 불자, 시크교인도 있고, 이찬수 (03/20) |
|
|
|
없는 것이 없다-힌두교 왜 힌두교인가 한국은 종교 백화점과 같다. 하지만 한국인 가운데 자신의 종교적 정체성을 ‘힌두교’로 규정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렇다고 해서 한국인이 힌두교와 무관하냐면 그렇지 않다. 힌두교적 세계관은 인도에서 생겨난 불교를 통해.. 이찬수 (03/20) |
|
|
|
원리주의자들의 ‘거룩한 전쟁’ 알라와 야웨, 같은 신? 지난 호에 본대로 <쿠란>에서는 유대-그리스도인의 하느님과 이슬람의 하느님이 같은 분이라고 가르친다. 이런 신앙속에서 이슬람은 자신의 영향력 아래에 있던 유대-그리스도인들에게 신앙적 강요가 없었다. 실제로 무함마.. 이찬수 (03/20) |
|
|
|
무함마드가 본 유대-그리스도교 이슬람의 유대교적 기원 이슬람교가 생기기 이전 아라비아 지역의 종교는 최고신 ‘알라’(우리말로 ‘신’)를 정점으로 하는 전형적인 다신교 형태를 띤 가운데 바빌로니아와 페르시아의 종교, 그리고 유대-그리스도교의 영향을 일부 받고 있었다.. 이찬수 (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