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제/니므롯

성경의 비밀 (Tower of Babel) 바벨탑과 니므롯

은바리라이프 2008. 6. 2. 22:24
성경의 비밀 (Tower of Babel) 바벨탑과 니므롯
  • 글쓴이: sunbee
  • 조회수 : 151
  • 08.03.26 13:15
http://cafe.daum.net/waitingforjesus/HaVx/78주소 복사

음량 증폭 하세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란 초가잔빌 유적지 전경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초가잔빌 지구라트의 원래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남쪽 정문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남서쪽 문과 제단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북동쪽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서쪽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우르의 지구라트

 

우르의 지구라트는 3층의 기단 윗부분에 主神 난다에게 봉헌한 신전을 배치하고

정면과 양 측면에는 계단을 배치한 구조이다.

이러한 형태의 지구라트는 카시트시대(BC 2000년대 후반) 두르쿠리갈주에서도 볼 수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서기전 2100년경 건설된 우르의 지구라트는지금까지 발견된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 중에서 가장 완벽하게 보전된 것이다.

당시 우르 제III 왕조의 왕 우르-남무는 이 도시의 수호신 난나(Nanna)를 모신 신전을 좀 더 높은 곳에 세워 도시의 중심적인 상징으로 만들고자 했다.창세기에 등장하는 바벨탑의 원형이기도 한 지구라트는 원래 꼭대기의 신전을 받치기 위한 받침대에 불과하다.따라서 비록 지구라트가 이집트의 피라미드로부터 그 건축적인 아이디어를 빌려왔지만 이곳에서는 무덤이 아닌 신전 받침대로 활용됐다.재질이 약한 흙벽돌을 주로 건축자재로 사용했기 때문에 강도를 높이기 위해 역청을 사이사이에 깔았고 어떤 경우에는 갈대로 엮은 매트리스를 일정 간격으로 흙벽돌 사이에 끼워넣기도 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라크에 있는 많은 지구라트 중 하나의 모습이다. 바빌로니아 전승에 의하면 이 탑은 원래 니므롯이 축조했다고 한다.

아랍인들은 오늘날까지도 이 탑이 있는 지역을 Birs Nimrud, 즉 '니므롯의 땅'이라고 부른다.

 

이 탑은 옛날 하나님이 중단시킨 바벨탑과 동일한 유형의 것이지만 그 보다는 훨씬 작다.

바빌로니아의 신전을 지구라트라고 한다. 그 신전 중 제일 큰 것으로 보이는 탑이 근래에 와서 발견되었다. 

 

 바빌로니아 시대의 기록에 의하면 바빌로니아의 최고 왕이 느부갓네살이고, 예루살렘을 함락한 것이 기원전 586년인데 그 당시에도 이미 지구라트는 오래 된 탑이었다. 역사가 헤로도투스의 기록에 의하면 이 건축물은 서로 맞물리는 여덟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위에는 꼭대기에 오르기 위한 나선형의 길이 나 있으며, 그 꼭대기에는 거대한 신전, 바빌로니아의 신의 집을 지어 놓았다고 기록하였다. 이 거대한 건축물은 210m 이상의 높이를 가졌고 한 층을 약 3m로 잡으면 70층이 된다. 수천년 전에 만들어진 이 벽돌 한 장 한 장에는 놀랍게도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자기들이 섬기던 신의 이름인 '마르둑(Marduk)'이라고 쓰여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6세기 플랑드르 화가 브뤼겔의 "바벨탑">

 

 6층에 바알신의 지성소가 있었다

 

바빌로니아는 원래 「신의 문」(bab-ili)이라는 뜻이다.

또 고대 도시의 한 복판에 지어진 바벨탑은 하늘과 지상이 통하는 스타게이트였다. 일찍이 바빌로니아에 터를 잡았던 수메르 인들은 높은 산이나 언덕마다 탑을 빼곡하게 올리면서 신이 하늘에서 지상으로 내려올 때 발을 내딛을 받침대로 여겼다고 한다. 그리고 바벨탑이 그 전통을 이어받았다. 구약의 예언자 다니엘도 이곳 바벨탑 그늘 아래로 자주 지나 다녔을 것이다.


바벨탑을 목격한 사람은 또 있었다.

 기원전 458년 바빌로니아를 방문한 그리스 역사학자 헤로도토스는 『네모반듯한 밑그림에 탑이 서 있었는데, 탑 위에 탑이 올라붙고, 그 위에 또 다른 탑이 올라붙는 식으로 모두 여덟 개의 탑이 차곡차곡 쌓여 있었는데… 맨 꼭대기 탑 위에는 신전이 세워져 있었다』고 전한다(역사 I, 181~183). 모두 벽돌을 구워서 쌓은 탑이었고, 꼭대기의 신전은 지붕에다 파란 유약을 발라서 구운 기와와 황금을 씌워서 멀리서 도시로 들어서는 나그네의 눈을 눈부시게 했다고 한다.


 

 보라 ~ 이 웅장함을...양때치고 유목하는 그때의  인간들이 이 높은 탑을 보고 무슨생각을 했을까?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루카스 반 발켄보르흐의 바벨탑

 
 
기적의 건축, 반항의 건축


 

성서 언어학에서는 창세기의 기술 시점을 대략 기원전 440년께로 잡는다.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모세가 직접 창세기를 썼다고 본다면 바벨탑 이야기는 기원전 13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또 모세가 바벨탑 이야기를 쓰면서 옛 기록을 다시 정리했다고 치면 더 까마득하게 올라가니까 창세기의 바벨탑은 기원전 1700년께 함무라비 대왕이 건립했다는 첫 바벨탑으로 보아도 좋다. 첫 바벨탑은 천년 넘게 세월을 버티다가 낡아서 허물어졌고, 기원전 600년께 같은 자리에 새 바벨탑이 지어진 뒤, 다시 150여 년이 지난 시점에 헤로도토스가 보았던 것이다.

기원전 597년 예루살렘의 함락과 더불어 낯선 타국 바빌로니아에 강제 이주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일찍이 한 차례도 본 적이 없는 거대 도시의 풍경과 만난다. 인구 150만 명에다 18km가 넘는 성벽이 에워싼 철옹성 도시의 위용은 기껏해야 양이나 염소를 치며 빈 들의 우물을 찾아서 유목 생활을 하던 그들에게 신기루 같은 딴 세상의 풍경이었다. 또 고대 최고의 도시가 자랑하는 성역 한 복판에 들어선 바벨탑은 인간의 솜씨로 믿을 수 없는 기적의 건축이었다.

그러나 유다 역사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37~98년)는 바벨탑을 「반항의 건축」이라고 규정한다. 인간이 바벨탑을 높이 쌓아올린 것은 만약 또 한 차례 대 홍수를 일으키더라도 안전하게 피신하려는 속셈이니, 인간의 꾀를 가지고 야훼의 분노를 벗어날 수 있다는 오만의 죄를 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예언자들이 즐겨 입에 담았던 「바빌로니아의 창녀」가 「도시 바빌로니아」를 겨냥한 말이었다니까, 자태가 사뭇 눈부셨다는 바벨탑은 마치 바람난 처녀 바빌로니아의 헤픈 치맛자락처럼 보였던 모양이다.

 

 

인간은 그후로 계속해서 바벨탑을 세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창세기의 기록


바벨탑 이야기는 성서의 창세기에도 나온다.
『사람들은 동쪽에서 옮아오다가 시날 지방 한 들판에 이르러 거기 자리를 잡고 의논하였다. 「어서 벽돌을 빚어 불에 단단히 구워내자.」 이리하여 사람들은 돌 대신에 벽돌을 쓰고, 흙 대신에 역청을 쓰게 되었다. 또 사람들은 의논하였다. 「어서 도시를 세우고 그 가운데 꼭대기가 하늘에 닿게 탑을 쌓아 우리의 이름을 날려 사방으로 흩어지지 않게 하자.」… 야훼께서 온 세상의 말을 거기에서 뒤섞어놓아 사람들을 온 땅에 흩어놓으셨다고 해서 그 도시의 이름을 바벨이라고 불렀다』(창세기 11: 2~9)
창세기의 기록은 야훼가 사람들의 말을 뒤섞는 바람에 도시를 세우는 일이 중단되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헤로도토스가 보았던 바벨탑은 창세기에 짓다 만 바벨탑과 같은 것이었을까?

이 문제는 쐐기글자로 씌어진 명판의 한 구절이 해독되면서 실마리가 풀렸다. 신 바빌로니아 왕국의 나보폴라살 왕(B.C. 624~604년)이 남긴 기록이었다.『그때 마르두크 신은 이미 낡아서 붕괴된 바벨탑을 다시 지으라고 나에게 명령을 내렸다. 새 바벨탑은 바닥 돌이 지하세계의 심장에 닿고 탑 끝은 하늘을 찔러야 한다고 했다』


그렇다면 헤로도토스가 보았던 탑은 원래 같은 자리에 있던 옛 바벨탑을 허물고 새로 지은 두 번째 바벨탑이 된다. 공사를 너무 크게 벌인 탓인지 나보폴로살 왕은 완공을 보지 못하고 죽는다. 바벨탑 공사는 왕위를 계승한 아들 느부갓네살 왕(B.C. 604~562년)이 물려받는다. 그가 남긴 명판에는 이렇게 씌어 있었다.『나는 하늘과 어깨를 겨루는 에테메난키의 탑 끝을 올리는 공사에 착수했다』여기서 에테메난키(E-te-men-an-ki)는 「하늘과 땅의 받침돌」이라는 뜻이니까, 바벨탑 공사는 하늘과 땅, 신과 인간을 한 코에 꿰는 인류 최대의 역사였던 셈이다.   [한국 컴퓨터 선교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바벨탑 [Tower of Babel]